|
제21대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용산 대통령실에 대해 "여·야가 사용 중단과 대통령실 이전을 함께 합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14일 뉴스1에 따르면 김 전 지사는 이날 서울 여의도 한흥빌딩에 꾸려진 경선 캠프에서 "내란 본산인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여·야가 함께 이전을 약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대한민국은 내란의 완전한 종식을 약속할 중요한 고비에 서 있다. 새로운 대통령 선출에 앞서 용산 대통령실 사용 중단이 첫걸음이 돼야 한다"며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 대부분도 현재 대통령실 사용 불가에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여러 이유 중 하나로 안보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실과 국방부, 합참이 한 공간에 몰려 있는 용산은 군사적 공격 시 지휘 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다"며 "군사 선진국들이 지휘부 분산을 고수하는 이유를 우리는 직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용산 대통령실은 도·감청 보안에 취약하고 방공망 등 방호시설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 전 지사는 비용 문제도 거론하며 "주한미군 시설과의 물리적 경계 문제로 인해 추가 방호시설과 기지 재배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용산 사용 중단이야말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는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안으로 서울 청와대 복귀와 세종 집무실 병행 사용을 제시했다. 김 전 지사는 "청와대는 기존 방호 시스템이 집중됐던 만큼 한시적 재이전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세종 제2집무실이 오는 2027년 준공될 예정인 만큼 그전까지는 청와대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전했다. 그는 관저 문제에 대해선 "청와대 안 가나 국무총리 공관을 사용할 수 있다"며 "용산보다는 보안 문제도 작고 빠르게 보완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대통령 선거 이후 바로 입주가 가능하도록 이전 준비를 지금 시작해야 한다"며 "이는 권한대행 체제의 정부가 책임질 수 있는 일이 아닌 만큼 국회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울과 세종의 가용 공간에 대한 검토와 합의, 대통령실 이전 예산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며 "여·야 대통령 후보들이 입장을 밝히고 국회의장 주도로 각 당 지도부가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