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추경을 마련했다. 사진은 지난달 7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진행하는 모습./사진=뉴스1

금융위원회가 올해 3800억원 이상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 대외 통산환경에 대응하고 민생경제 회복을 본격 지원한다.

금융위는 지난 1일 국회 본회의에서 3865억 원 규모의 '2025년도 금융위원회 소관 추가경정예산'이 확정됐다고 2일 밝혔다.


추경안을 보면 먼저 금융위는 미국발 상호관세 부과 등 대외 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산업은행에 1000억 원을 신규 출자한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은행은 4조원 규모의 '관세대응 저리 지원 특별대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관세피해업종 전반에 대한 저리 운영자금 3조원과 반도체 이외 첨단산업 설비투자에 대한 1조원 규모의 저리 자금으로 구성한다.


이어 금융위는 '반도체 설비 투자 지원 특별 프로그램'을 위한 산업은행 출자액도 2000억원 증액한다.

이 프로그램은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반도체 모든 분야에 걸친 기업의 신규 투자에 대해 저리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증액으로 총 3조4000억 원 규모의 추가 지원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금융위는 이번 추경을 통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500억원을 신규 출자해 '기업 구조혁신 펀드'를 신설한다.

캠코는 해당 출자금을 기반으로 5000억원 이상의 신규 펀드를 조성해 주력 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금융위는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금을 365억 원 증액해, 최저 신용자의 금융 접근성을 개선하고 불법 사금융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최저신용자 한시 특례보증' 사업 지원을 확대한다.

재정 보강으로 보증 공급 규모는 기존 1700억원에서 2800억원으로 증액된다.

금융위는 "급격한 통상 환경 변화와 민생 경제 회복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과 서민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추경을 통해 배정된 예산을 최대한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국회 정무위원회는 지난달 28일 금융위 소관 추경안에 대해 정부안에 더해 서민금융 지원을 위한 예산 165억 원을 증액하는 수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정무위 수정안에 대한 심사가 이뤄지지 않아 정부안이 그대로 본회의를 통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