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공식 지지하며 "이제 우리는 단결해야 한다"고 호소한 가운데 당내 중진 인사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윤 전 대통령의 정치 개입 논란이 당내 분열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본격화된 셈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한덕수 전 총리가 선언한 사명은 김문수 후보와 함께 이어가야 할 사명"이라며 "김문수 후보의 정치 철학은 자유민주주의의 본질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제 단결해야 한다. 우리는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고 했다. 한 전 총리의 불출마를 전제로, 김 후보 중심의 진영 정비를 독려한 것이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김문수 후보는 계엄과 탄핵 반대 발언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며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단호히 절연하지 않으면 선거 내내 이재명의 공격에 휘둘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이 계속 관여한다면 출당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도 곧바로 "그 입 다물기 바란다. 가만히 있는 게 도와주는 것"이라며 "빨리 출당시키든지 정리해야 한다"고 강도 높은 비판을 SNS에 올렸다. 김 후보 지지를 공식화한 윤 전 대통령의 언급이 선거 국면에 '방해'가 된다는 주장이다.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는 김문수 후보의 공식 등록 시점에 맞춰 공개됐다. 전날 당원 투표 결과 '한덕수 교체안'이 부결되자 김 후보는 다시 후보직에 복귀했고,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공식 등록을 마쳤다. 윤 전 대통령은 이 과정을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할 역사적 전환점'으로 규정하며 김 후보에게 힘을 실은 셈이다.
이런 지지 표명이 오히려 선거전의 중심축을 김문수가 아닌 '윤석열'로 돌리고 친윤-비윤 갈등을 재점화하는 부작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김 후보가 당 내외 설득 과정에서 '계엄 옹호 발언 논란' 등에 해명 없이 후보직에 복귀한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는 정당성과 신뢰 회복을 방해하는 개입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당내 일각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가 원래 한덕수 지지를 전제로 기획됐다가 급히 김문수로 방향을 바꾼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된다. 메시지 말미에서 "김문수 후보를 지지했던 분들도 서로의 손을 맞잡아야 한다"는 문구가 어색하게 배치됐다는 지적 때문이다.
정계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여전히 당과 선거전 중심에 서려 한다는 불신이 팽배하다"며 "김문수 체제로 가더라도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 없이는 국민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