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두고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김 후보는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에 위치한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헌화하고 묵념했다. 방명록에는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다.
이어 김 후보는 5·18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 묘역과, 전남대 총학생회장으로 단식 투쟁 중 옥중 사망한 박관현 열사 묘역을 차례로 참배했다. 박 열사 묘역 앞에서는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김 후보와 박 열사는 시대는 달랐지만 광주교도소의 같은 독방에 수감된 인연이 있다.
박 열사는 1982년 4월 신군부에 의해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체포돼 고문을 받고 광주교도소에 수감된 뒤 50일 동안 단식투쟁을 하다 사망했다.
김 후보는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돼 1988년까지 수감 생활을 했으며 박 열사가 생을 마감했던 독방에서 약 10개월 동안 옥살이를 하다가 개천절 특사로 출소했다.
김 후보는 "제가 박관현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했다.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며 "(박 열사가) 교도소에서 계속 단식하다가 지병으로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이어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신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회상했다.
이번 참배에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박대출 사무총장, 이정현·양향자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인요한 호남특별위원장 등이 동행했다.
한편 김 후보의 방문에 반발한 광주 지역 시민단체의 항의 시위도 벌어졌다.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회원 5명은 김 후보가 묘역에 도착하자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를 떠나라",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사퇴하라", "내란세력 청산하고 민주정부 건설하자" 등의 구호를 외치며 강하게 항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