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플러스 사태가 석달째 이어지는 가운데 홈플러스 노조가 홈플러스 살리기 '10만' 범국민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나섰다. 노조는 MBK 파트너스에 대한 형사처벌, 홈플러스 정상화 방안 수립, 정부의 사모펀드 규제 제도 마련을 3대 요구사항으로 내걸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7일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에 따르면 '홈플러스 살리기' 범국민 서명운동은 이날까지 진행된다. 총 10만명 서명을 목표로 시작된 이번 운동은 24일 기준 이미 8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지난 24일 범국민 서명운동 호소문을 통해 "MBK의 탐욕과 무책임으로부터 10만명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27일까지 10만 서명을 모아 정치권과 법원에 제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노조 측은 MBK가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한 책임 있는 자세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올 3월 MBK가 홈플러스에 대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한 기업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 비화했다. 은행·증권사 등 금융권을 비롯해 납품업체, 입점 점포 등 전방위에 걸쳐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는 평가다. MBK가 무리한 차입매수(LBO)로 홈플러스를 인수하고 빚을 전가한 탓에 사업 경쟁력 저하와 재무건전성 훼손을 초래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홈플러스는 임차료 조정 협상 난항을 겪는 17개 점포에 대한 임차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지난 26일 광화문 D타워 앞에서 열린 MBK 규탄 집회에서도 홈플러스 대규모 폐점 우려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예상하고도 이를 숨긴 채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을 사기 발행한 의혹 또한 논란의 중심에 있다. 현재 개인·법인 피해자 120여명이 MBK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등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로 고소한 상황이다. 검찰은 지난달 28일 MBK 본사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이달 17일에는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김병주 회장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해 휴대전화를 확보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에서는 MBK가 홈플러스뿐만 아니라 국내 여러 분야 기업의 경쟁력을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로 MBK가 영풍과 연합해 적대적 M&A를 추진 중인 고려아연 또한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와 마찬가지로 고려아연도 경영권이 사모펀드에 넘어갈 경우 핵심자산 매각, 임직원 고용불안 심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