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학년도 서울 소재 대학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합격생 가운데 이과생과 문과생의 내신 평균 등급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입성한 학생부교과전형 합격생의 내신 평균은 인문계열 2.58등급, 자연계열 2.08등급으로 조사됐다.
계열 간 평균 내신 등급 격차는 0.50등급으로, 2022학년도 통합 수능 전환 이후 가장 크다. 앞서 첫해인 2022학년도 대입 땐 0.23등급, 2023학년도 0.19등급, 2024학년도 0.44등급 등으로 차이가 났었다.
수시 학생부종합전형도 마찬가지다. 해당 전형으로 서울 소재 대학에 합격한 학생 중 인문계열의 내신 평균은 3.05등급, 자연계열은 2.71등급으로 집계됐다.
수도권과 지방 상황도 비슷하다. 수시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 종합전형 모두 통합 수능 전환 이후 4년 연속 자연계열 합격선이 인물계열보다 높았다.
수능에서도 이과생 강세가 예상된다. 지난 6월 2026학년도 수능 모의평가에서는 수학 선택과목 중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143점, 기하가 140점으로 조사됐다. 확률과 통계는 136점이다. 자연계열 학생들은 수학에서 대부분 미적분과 기하를, 인문계열 성향은 확률과 통계를 택한다.
또 이과 성향 학생들은 대개 국어에서 언어와 매체를 택하는데 지난 6월 모의평가에서 해당 선택 과목 표준점수 최고점은 137점으로 나타났다. 문과 성향 학생들은 화법과 작문으로 쏠리는데 같은 시험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은 132점이었다.
최근 주요 대학에서 '무전공 선발 전형'이 확대되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수능과 내신 고득점자들 상당수가 이과생인 만큼 해당 전형에서도 유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6학년도 문과 학생들은 학교 내신에서 문·이과 간 격차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며 "수능에서도 확률과 통계, 화법과 작문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시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들의 수학 선택과목 간 합격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대학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