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AI 모델과 서비스를 선도해 온 LG AI 연구원이 지난 5년간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진화한 '엑사원 생태계'를 선보였다.
LG AI연구원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최근 공개한 '엑사원 4.0'과 '엑사원 패스 2.0'을 비롯해 다양한 AI 모델을 소개했다.
엑사원 4.0은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며, 엑사원 패스 2.0은 질병 진단 시간을 2주에서 1분 이내로 단축한 정밀 의료 AI 모델이다.
복잡한 전문 문서부터 이미지와 분자 구조식까지 완벽하게 이해하는 멀티모달 AI 모델인 '엑사원 4.0 VL'도 처음으로 공개했다. 엑사원 4.0 VL'은 메타의 라마 4 스카우트 모델보다 성능 면에서 앞선다.
LG 내부 검증 단계를 마친 엑사원 기반 엔터프라이즈 AI 에이전트 '챗엑사원'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 '엑사원 온프레미스도 차례로 발표했다. '챗엑사원'은 국가핵심기술 문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ISO 인증을 획득해,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기업 전용 서비스로도 확장할 수 있다.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전문 분야 특화 AI 모델을 빠르게 만들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품질 데이터를 생산하는 플랫폼 기술로 AI 공장 역할을 수행한다.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작업해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한 명이 하루 안에 끝내도록 만든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AI 반도체부터 모델까지 순수 국산 기술로 완성한 설루션이다. 기업들이 보안 걱정 없이 엑사원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독립된 환경에서 기업용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풀스택(Full-Stack) 방식이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생태계의 국내외 주요 파트너사들을 소개하며 향후 AI B2B 사업 모델 다변화 가능성도 알렸다. 협업 중인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AI 신약 개발을 위한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준비 현황을 소개했고, 아르만 사호비치 런던증권거래소 그룹(LSEG) 아태지역 데이터 플랫폼 설루션 총괄은 엑사원으로 만든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선보였다.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하고, AI 모델 개발을 넘어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통해 범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춰 나갈 것"이라며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홍락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 겸 CSAI(최고AI과학자)는 "에이전틱 AI의 진화는 곧 현실 세계를 바꾸는 기술인 피지컬 AI로 연결된다"며 "AI가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해 실제 환경을 바꾸는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