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지원반./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긴급지원반'을 구성해 현장 대응에 나섰다고 24일 밝혔다.

광주시는 특별재난지역 1차 선포 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오는 27일부터 8월2일까지 예정된 중앙합동조사단의 현장 점검에 대비해 적극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긴급지원반 2개 반 7명을 편성해 자치구 피해 현장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피해가 집중된 북구 지역을 중심으로 공공시설 피해액 산정과 피해 내역 점검에 집중하고 있다.

자치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사용법을 안내하고 피해 조사 실무를 전방위로 지원하고 있다.

특별재난지역은 자치구별 평균 재정력에 따라 피해액이 일정 기준의 2.5배를 초과하면 지정되며 선포 시 지방비 부담분 중 최대 80%까지 국고로 추가 지원받을 수 있다.


광주에서는 △동구·남구 102억5000만원 이상 △서구·북구·광산구는 122억5000만원 이상의 피해액이 기준이 된다.

시는 시청 1층에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상담부터 복구 지원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하며 신속 대응에 힘쓰고 있다.

김준영 시 시민안전실장은 "이번 호우는 관측 사상 최대 일 강수량을 기록한 만큼 국비 지원 없이는 복구가 어렵다"며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