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딸' 스틸 컷

(서울=뉴스1) 정유진 기자 = 좀비는 보통 아포칼립스 장르 작품에서 등장한다. 갑작스러운 바이러스가 인간 세계에 침투해 전염병이 창궐하고, 주인공들은 좀비가 된 사람들에게 쫓겨 살길을 찾는다. 이 같은 설정을 대중적으로 잘 반영한 영화가 '부산행'(2016)이다. '부산행'은 좀비 아포칼립스와 액션 장르, 가족 드라마를 잘 혼합한 작품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리고 오는 30일 개봉을 앞둔 '좀비딸'은 '부산행'과 같은 좀비 아포칼립스 설정의 영화지만, '가족 코미디'를 붙였다는 점에서 기존 작품들과 궤를 달리하는 독특한 영화다.
'좀비딸'(감독 필감성)은 이 세상 마지막 남은 좀비가 된 딸을 지키기 위해 극비 훈련에 돌입한 딸바보 아빠의 코믹 드라마를 담아낸 코미디 영화다. 이윤창 작가의 웹툰 '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을 원작으로 했다. 조정석이 극 중 세상에 마지막으로 남은 좀비딸을 위해 극비 훈련에 나서는 아빠 정환 역을, 아역 배우 최유리가 그의 딸 수아를 연기했다.

좀비가 등장하는 영화답지 않게 '좀비딸'은 밝고 따뜻하다. 바이러스에 감염돼 좀비가 돼버린 딸 수아를 대하는 아빠 정환과 할머니 밤순(이정은 분), 아빠 친구 동배(윤경호 분)의 모습이 그렇다. 맹수 사육사 출신인 정환은 시도 때도 없이 공격성을 드러내는 딸 수아에게 사람으로서의 기억이 남아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훈련에 들어간다. 할머니 밤순은 손녀를 끔찍이 사랑하면서도 버릇없는(?) 태도를 못 참고 효자손으로 군기를 잡으며 웃음을 준다. 아빠의 친구인 동배는 으르렁거리는 친구의 딸에게 두려움을 느끼지만, 의리로 훈련에 동참한다.


'좀비딸' 스틸 컷

'좀비딸'의 코미디는 이처럼 좀비가 돼버린 수아를 '길들이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딸을 사랑하지만,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는 그에게 마스크를 씌우고 줄을 묶어야 하는 아빠의 난감함, 과거 춤을 췄던 기억으로 인해 음악에 맞춰 엉성한 움직임을 보이는 좀비 딸의 엉뚱함, 좀비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드러내는 좀비 헌터 연화(조여정 분)로 인해 긴장하는 가족의 모습 등은 코미디의 좋은 재료가 됐다.

가족 코미디는 오랫동안 한국 영화에서 사랑받아 온 장르다. 특히 2000년대와 2010년대에는 '과속스캔들'(2008) '7번방의 선물'(2013)처럼 코미디적 요소와 감동 코드가 결합된 작품들이 흥행에 크게 성공했다. '좀비딸'은 '부산행'의 흥행 이후 유행을 타기 시작한 좀비 소재와 전통적인 가족 코미디가 만나 트렌디한 2030 젊은 관객층에도, 가족 코미디에 익숙한 4050 관객층에도 통할만한 개성을 보여준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이후 극장가의 흥행 문법은 180도 달라졌다. 영화의 규모와는 별개로 흥행은 쉽지 않은 일이 됐고, 그나마 '재밌다'고 입소문이 난 작품에 관객들이 쏠리는 경향이 생겼다. 그중에서도 코미디적 요소가 있는 밝은 작품들이 비교적 다른 장르보다 관객몰이에 더 성공적이었는데, 2편, 3편, 4편이 각각 천만 관객을 동원한 '범죄도시' 시리즈와 더불어 '30일'(2023) '핸섬가이즈'(2024) '파일럿'(2024) 등 중저예산 작품들이 그 예다.


좀비가 나오는 코미디 영화인 '좀비딸'은 그런 면에서 유리한 위치에 선 여름 영화다. '전지적 독자 시점' '악마가 이사왔다' 등과 함께 여름 흥행에 나서게 된 이 영화가 관객들에게 어떤 반응을 얻을 수 있을지 기대감을 준다.

필감성 감독은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영화 속 좀비 스릴러와 코미디의 조화에 대해 "밸런스 잡는 게 중요했는데 초반엔 무섭고 짜릿했으면 했다"며 "사실적인 느낌으로 받아들였으면 하면서도 코미디라 51:49로 밸런스를 잘 잡아야겠다 했다, 그 지점을 가장 신경을 많이 썼다"고 연출 주안점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