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사진=머니투데이

하나증권은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미국 공장 에너지저장장치(ESS) 생산 본격화로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는 기존 33만6000원에서 45만원으로 상향, 투자의견은 '중립'에서 '매수'로 올려잡았다.

하나증권은 28일 리포트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49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2%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조6000억원으로 10% 감소했다. 미국 생산 보조금(AMPC) 효과를 제외한 영업이익률은 0.0%로 6개 분기 만에 적자에서 벗어났다.


올해 3분기 실적은 매출과 이익의 전 분기 대비 감소세가 중단될 것으로 전망했다. AMPC를 포함한 전사 영업이익률은 9.6%로 직전 분기 대비 0.8%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북미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한 AMPC 감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매출 증가와 현대차 아시아 공장 라인 가동률 상승 힘입어 AMPC 제외한 전사 영업이익률은 2.5%로 흑자 기조에 안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국 ESS 생산이 시작되면서 실적 흐름상 중요한 변곡점에 진입했다는 평가다.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 17GWh(기가와트시), 2027년 30GWh 규모의 현지 ESS 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할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해당 공장들은 지분율 100%를 보유한 단독 공장이므로 전기차 라인과 달리 kWh(키로와트시)당 35달러의 보조금을 고객사 공유 없이 모두 수취할 수 있다"며 "이는 연결 영업이익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배주주 순익을 크게 끌어 올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보조금이 종료되는 2032년 이후에는 추가 증설 없이 기존 라인의 가동률이 최대치까지 올라온 상황에서 적정 순이익률 7%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김 연구원은 "주가 하방 압력은 제한적"이라며 "2년만의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국면이라는 점에서 비중 확대를 권고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