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지난 16일에 이어 31일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사진은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이 31일 서울 서초구 이명현 순직 해병 특별검사 사무실로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2차 출석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해병대원 순직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이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을 재소환했다.

31일 뉴시스에 따르면 박 대령은 이날 오후 1시25분쯤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지난 16일 이어 두 번째 조사다.


박 대령 측은 "박 대령 항명 사건에서 자신의 기억에 반해서 허위 진술을 한 증인들이 일부 포착됐다. 그 부분에 대한 객관적 증거가 일부 드러났다"며 "박 대령을 모해할 목적으로 위증했다는 측면에서 수사를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검에서 2년 가까이 이뤄진 박 대령 항명 혐의 재판에서 놓치거나 혹시나 간과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의견을 드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령은 채상병 순직사건 당시 해병대 수사단장으로 초동 수사를 지휘했고 사건 경찰 이첩과 관련해 대통령실과 국방부의 수사외압 정황을 폭로한 바 있다. 박 대령이 당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전해들었다고 밝힌 이른바 'VIP(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은 최근 특검팀 수사를 통해 사실로 확인되고 있다.

특검팀은 2023년 7월31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 7명 중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과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 조태용 전 국정원장(전 국가안보실장), 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 등 5명으로부터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인정하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VIP 격노설을 부인해왔던 김 전 사령관도 영장실질심사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화를 냈다고 진술했다.


특검팀은 사건 당사자인 박 대령을 상대로 최근 진행된 조사 과정에서 확보한 새로운 진술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