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23년 9월1일 오전 11시58분 일본 도쿄와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한 관동 지역에서 진도 7.9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날 재해는 향후 '관동대지진'으로 불리며 일본 역사상 최악의 지진 참사중 하나로 기록됐다.
지진은 단 4분만에 도쿄, 요코하마를 포함해 관동 6개현을 초토화시켰다. 이로 인해 건물과 도로 붕괴는 물론 지진 발생 시간이 점심시간이던 탓에 집집마다 불길이 번지며 대규모 화재가 발생해 수많은 인명피해와 경제적 피해를 발생시켰다. 이 지진으로 약 14만2000명이 죽고 3만7000명이 실종됐으며 주택 40여만채가 붕괴 또는 전소됐다.
지진 이후 더 큰 비극, 조선인 학살
![]() |
관동대지진은 단순한 자연재해에 그치지 않았다. 혼란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 "폭동을 일으켰다"는 유언비어가 퍼지기 시작했다. 이를 빌미로 일본 군경과 자경단은 조선인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들은 일본어가 서툰 조선인들을 죽창과 칼로 찔러 죽였으며 총을 쏘고 불에 태우기도 했다. 해당 학살로 인한 정확한 희생자 수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독립신문은 당시 조선인 희생자를 6661명으로 보도했다.
일본은 조선인 학살 사건을 수습하기 위해 9월17일부터 10월1일까지 자경단을 체포했다. 이때 체포된 사람은 735명으로 이들 중 125명이 기소됐다. 실형을 받은 사람은 30명에 불과했지만 이마저도 1924년 1월 사면을 받아 모두 풀려났다. 이는 지금까지도 조선인 학살 사건으로 기록돼 역사적 책임과 진상 규명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 |
일본 사회에 남긴 지진 충격과 변화
![]() |
관동대지진은 일본의 도시 계획과 건축 기준, 정부 시스템에 큰 변화를 불왔다. 지진 발생 1년뒤인 1924년 건축물법시행규칙의 구조물 강도 규정이 개정됐으며 지진력 관련 규정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제정됐다. 또 건물에는 내진 설계가 본격적으로 도입됐으며 도쿄 도심의 재개발과 방재 인프라 확충도 추진됐다. 현재 일본은 9월1일을 방재의 날로 지정하고 매년 방재훈련과 행사를 개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