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를 포함한 일본산 수입품에 관세 15%를 적용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사진은 지난 3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카롤 나브로츠키 폴란드 대통령과 회동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일본산 제품에 대해 최대 1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지난 4일(이하 현지시각) 백악관은 "'미국 일본 협정 이행'이라는 제목의 홈페이지 게시글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거의 모든 일본산 제품에 15%의 관세가 부과된다"고 설명했다. 기존 세율과 상호관세를 합쳐 최종 관세율이 15%를 넘지 않게 하고, 기존 세율이 15% 이상인 제품에 대해서는 상호관세를 적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번 합의는 지난 7월 도출됐으나 미국과 일본 간세부 조건을 두고 줄다리기가 이어지면서 공식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 행정명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국가별 추가 관세가 기존 관세 위에 중복 부과되는 것을 막는 효과를 갖는다.

백악관은 "일본은 미국 제조업과 항공우주, 농업, 식품, 에너지, 자동차 등 주요 분야 전반에 걸쳐 (미국 기업의) 시장 접근을 위한 획기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최근 미국산 쌀 수입을 75% 늘리고 옥수수, 대두, 비료, 바이오에탄올을 포함한 미국산 농산품을 연간 80억 달러 수입하는 방안을 신속히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백악관은 "일본 정부는 미국에서 제조돼 미국에서 안전 인증을 받은 승용차를 추가 시험 없이 일본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별도로 일본은 미국산 상업용 항공기와 방위장비를 구매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