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가 최근 심화하는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부터 도민의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재난 대응 체계를 대폭 강화한다.
기존의 강우량 기준 경보 방식을 넘어, 예비특보 단계부터 선제적으로 위험을 알리는 '기후위기 인명피해 방지 재난대응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
도는 최근의 국지성·극한호우가 기존 예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잦아 현행 재난대응 체계로는 실질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지난 7월 가평 지역에서는 예보량의 2.9배에 달하는 233.5mm의 비가 내렸으며, 최근 10년간 평균 1.2회에 불과했던 시간당 100mm 이상의 '극한호우'가 올해는 이미 4차례나 발생했다.
최근 기후위기와 해수온도 상승으로 좁은 지역에 예보를 초과해 강하고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호우 양상이 심화하기 때문이다. 현 재난대응 체계로는 실질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어 취한 조치다. 지난 7월 호우시 가평지역은 예보량의 2.9배에 달하는 233.5mm의 많은 비가 내렸다. 극한호우(72mm/h)를 크게 웃도는 시간당 100mm가 최근 10년간 평균 1.2회 정도였지만 지난 8월까지 벌써 4차례나 내렸다.
이에 따라 도는 올여름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한 하천, 야영장을 중심으로 자연재난과 등 3개 부서가 참여하는 전담조직(TF)을 구성, 위험시설별 맞춤형 재난대응 개선안을 마련했다. 먼저 하천의 위험상황 전파체계와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한다. 지금까지는 강우 개시 후 일정 강우량에 도달해야만 자동 방송을 실시했지만, 앞으로는 예비특보 발표 시점부터 주기적·반복적 경보방송을 실시한다.
또 현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지정한 28곳 홍수특보지점 외에도 저지대 등 취약지점 10곳을 추가로 선정했다. 홍수주의보 발령 시 대상 지역의 현장 예찰을 강화하는 등 하천 중점관리지역을 확대한다. 야영장 안전관리도 정보전달과 위험시 대응체계를 현장에 맞도록 개선한다. 시군에서 운영하는 자동 음성발송 시스템(VMS)을 활용해 야영장 관리인에게 기상특보 시 상황을 음성으로 즉시 전파하고, 현장 관리인이 이용객에게 대피 안내를 실시하는 체계를 갖춘다.
VMS시스템은 시간, 대상, 내용, 횟수를 입력해 대상자가 응답할 때까지 전화 발송, 수신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관리인 전파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정부와 함께 관광산업법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호우·산사태 경보 시 의무 대피 기준을 명확화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방침이다. 하천 지역도 시군과 협력해 대피 시점·범위·조력자 등을 포함한 현장 작동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내년부터는 재난 대응 인프라도 대폭 확충한다. 올해 169개 정도였던 재난 예·경보시설 신규 설치는 야영장 등을 중심으로 2배 가량 확대한다. 2026년 350개 신규 설치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또 홍수특보지점 수준으로 관리를 강화하는 10곳을 포함해 침수위험이 높은 하천변 27개곳에는 폐쇄회로(CC)TV를 신규 설치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