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에 접수된 무단 소액결제 관련 고객 문의가 9만건을 넘어서면서 추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에서 열린 소액결제 피해 관련 기자 브리핑에서 사과문을 발표 하던 모습. /사진=뉴스1

KT에 접수된 무단 소액결제 관련 고객 문의가 9만건을 넘어서면서 추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실(더불어민주당·대전유성구을)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 기준 언론보도 이후 소액결제 관련 키워드로 접수된 고객 문의는 총 9만2034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휴대전화 소액결제 시장 전체 민원 접수 건수(1만5044건)의 약 6배에 이르는 수치다.


앞서 KT는 자체 조사 결과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자는 278명, 결제 취소를 포함한 피해액은 약 1억7000만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회사 측은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회선을 통한 ARS 인증으로 상품권 결제가 이뤄진 사례를 추출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수만 건의 고객 문의가 쏟아지는 만큼 아직 드러나지 않은 '그림자 피해'가 대규모로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황 의원실은 지난달 27일부터 열흘 동안 소액결제 이용자 수와 이용 금액 등 관련 자료 제출을 요청했지만 KT는 지난 10일 "월별로 관리 중이라 정확한 현황을 즉시 추출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황 의원은 "로그 기록과 요금 내역이 모두 시스템상 남아 있음에도 전체 소액결제 거래 현황을 파악할 수 없다는 KT의 태도는 해킹 피해 규모를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는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직접 소액결제 내역을 전수 조사해 실제 피해 규모를 명확히 밝히고 축소·은폐 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히 제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