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동남권 투자공사 설립을 추진하는 정부 방침에 대해 "투자와 고용 측면에서 부울경 지역에 더 특화된 효과를 기대한다"고 입장을 밝혔다./사진=김성아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정부가 산업은행 부산 이전 대신 동남권 투자공사 설립을 추진하는 것이 '공약 파기'라는 지적에 대해 "투자와 고용 측면에서 부울경 지역에 더 특화된 효과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헌승 의원(국민의힘·부산 부산진구을)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김 총리에게 "지난 6월1일 당시 이재명 당시 대선 후보께서 부산에 산업은행 부산 이전 대신 동남권 투자은행을 만들겠다고 공약했는데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는 동남권 투자공사를 만들기로 결정했다고 들었다. 맞습니까?"라고 물었다.


이어 "만약 정부가 투자은행 대신 자본금 3조에 불과한 투자공사를 강행한다면 이것은 명백한 공약 파기"라며 "부산 시민들은 진작부터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요구해왔고, 부산에 있는 민주당도 동조해왔다"고 지적했다.

또 "이제 와서 산업은행 부산 이전 백지화에 이어 예금 수신도 할 수 없고 자금 공급도 제한적인 투자공사를 설립하겠다는 것은 부산 시민을 무시하는 행태로밖에 볼 수 없다"며 "우리 부산 시민들은 날림·졸속 금융기관을 원하지 않는다. 지역의 여론을 전적으로 수용해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제대로 추진하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동남권투자은행은 PK(부산·경남) 지역의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자금을 공급할 국책은행 성격의 금융기관 설립을 목표로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부산 지역의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사업이다. 이는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대체할 방안으로도 거론돼 왔다. 다만 최근 정부가 동남권투자은행 설립 대신 투자공사 형태로 추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자 부산시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17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재명 정부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백지화한 데 이어, 동남권투자은행 대신 투자공사를 설립하기로 했다"며 "이는 부산 시민의 여망을 저버린 처사이자 사탕발림으로 지역 발전의 근본적 해결책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김 총리는 "산업은행 부산 이전과 관련한 부산 시민의 마음을 잘 알고 있고 주로 투자와 고용 측면에서 지역과의 연관성을 강조하시는 것도 잘 알고 있다"며 "실제로 투자공사가 설립되면 산업은행을 부산에 옮기는 것보다 부울경 지역(부산·울산·경남)에 집중적인 투자와 부울경의 인력 고용 측면에서 더 특화된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지켜봐 주시기 바란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