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상계엄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이 내란 특검에 출석해 밤늦게까지 조사를 받았다.
25일 뉴스1에 따르면 박 전 장관은 전날 오전 10시 특검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에 출석해 밤 10시51분쯤까지 조사를 받았다. 박 전 장관은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이다.
박 전 장관은 조사를 마친 뒤 서울고검 청사를 나서며 "통상적 업무 수행에 대해, 다른 평가를 한 것에 대해 제가 알고 있는 모든 내용을 상세히 말씀드렸다"며 "의문이 제기된 모든 점에 대해 상세히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이어 "장관으로 재직하며 지속해 특검법의 위헌성을 지적했는데, 그 위헌성이 현재 특검법에도 시정되지 않은 채 시행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혐의 전반을 모두 부인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통상 업무를 했을 뿐"이라며 "부당한 지시를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박 전 장관은 구치소 수용 여력 점검을 지시한 것이 정치인 체포와 연관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누구도 체포하라, 구금하라 지시한 사실이 없다"며 "질문이 도대체 어디에 근거한 것인지 알지도 못한다"고 말했다.
박 전 장관은 당초 이날 서울고검 1층 현관으로 공개 출석할 예정이었으나, 지하주차장을 통해 특검 조사실로 들어오면서 취재진을 피했다. 박 전 장관은 계엄 당일 윤 전 대통령이 자신의 계획을 알리기 위해 최초로 불렀던 6명의 국무위원 중 한 명으로, 비상계엄 선포를 막지 못하고 방조·가담한 의혹을 받는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이 법무부 수장으로서 법질서를 수호하지 않고 계엄을 적극적으로 막으려 하지 않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박 전 장관은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3일 밤 11시30분쯤 열린 법무부 실·국장 회의에서 '합동수사본부 검사 파견 검토', '출국금지팀 호출' 등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도 받는다. 교정본부에는 구치소 수용 여력 점검과 공간 확보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장관은 이 회의를 전후로 심 전 총장 세 차례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지난달 25일 박 전 장관에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를 적용해 자택과 법무부, 대검찰청, 서울구치소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의 진술 내용을 검토한 뒤 추가 소환 또는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