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0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행정 전산망 시스템이 647개에서 709개로 늘었다. 서비스가 중단된 정보 시스템 709개 중 193개(27.2%)는 복구됐다.

행정안전부는 9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0차 회의를 개최해 시스템 장애에 따른 대국민 서비스 제공 상황과 조속한 시스템 복구를 위한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내부 관리시스템인 nTOPS가 복구되면서 보다 정확한 복구 체계를 갖추게 됐다"며 "오늘 6시(오전) 기준으로 총 709개 시스템 중 193개가 복구됐고, 추석 연휴 기간 중에는 54개 시스템이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이어 "화재 피해가 컸던 5층의 7, 7-1 전산실의 시스템은 당초 대구센터로의 이전을 우선적으로 검토했다"면서도 "대전센터 내 공간을 활용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할 경우에는 대전센터에서 복구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 시스템별로 최적의 이전 및 복구 방안을 유연적으로 결정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현장에 투입된 공무원과 민간 운영 인력의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윤 장관은 "정부는 근무자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인력 지원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복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일부터는 다시 연휴 기간이 끝나고 국민들께서 일상으로 돌아오시게 된다"며 "국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각 부처와 지자체에서는 업무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