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특검팀 소환에 응했다. 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재판에 출석해 자리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공동취재단)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외환 혐의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서자, 윤 전 대통령이 소환에 응했다.

15일 뉴스1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이날 내란 특검팀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구치소에서 출발해 오전 8시30분쯤 서울고검 청사에 도착했다. 윤 전 대통령은 사복으로 환복해 출석했다.


특검은 지난 1일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이날 오전 8시 집행할 예정이었으나, 담당 교도관이 오전 7시30분쯤 체포영장 발부 사실과 집행 계획을 알리자 그간 특검의 체포영장 집행을 거부하던 윤 전 대통령이 임의 출석 의사를 표명하면서 출정했다. 체포영장 기한은 오는 17일까지다.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교도소에서의 집행 인력 준비 상황, 재판 일정을 고려해 오늘 (집행하기로) 정했다"고 부연했다.

이날 특검 조사는 박향철 부장검사, 문호섭 검사가 조사를 담당할 예정이다. 윤 전 대통령 측에선 변호사 선임계가 제출되진 않았지만, 김홍일·배보윤 변호사가 입회 의사를 표명했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조사 중에 돌아가겠다고 하는 경우 체포영장을 언제든 교도관을 통해서 다시 재집행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오늘은 외환 의혹 관련 조사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오늘 질문이 마무리되면 더 이상 조사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달 24일과 30일 두 차례에 걸쳐 윤 전 대통령에게 평양 무인기 의혹 관련 피의자 조사를 받을 것을 통보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구치소 방문 조사에만 응하겠다며 불출석 사유서 제출 없이 불응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7월10일 재구속 이후 줄곧 특검 수사에 응하지 않다가 지난달 26일 특수 공무집행 방해 등 혐의 첫 공판과 보석 심문엔 참석했지만, 법원은 보석 청구를 기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