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지난 9월 서울 마포구 고용노동부 서울서부고용센터를 찾은 한 청년 모습. /사진=뉴스1

청년층(15∼29세)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장 기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고용률은 인구 대비 취업자의 비율로 인구 감소와 무관하게 고용 상황을 보여주는 실질 지표다.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경력직 위주 채용 기조 등 구조적인 문제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20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 떨어진 45.1%다. 전년 같은 달 대비 하락세가 17개월째 이어진 것으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약 16년 만의 최장 기록이다. 당시 청년층 고용률은 2005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51개월 연속 하락한 바 있다.


청년 고용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부진이 꼽힌다. 양질의 일자리 자체가 줄어든 데다 최근 기업들이 경력직 중심으로 인력을 채용하는 경향이 뚜렷해진 것도 영향을 끼쳤다.

지난 8월 기준 제조업 취업자는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 등 여파로 전년 동월 대비 6만1000명 줄며 15개월 연속 감소세다. 같은 기간 건설업 취업자도 8만4000명 감소해 17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밖에 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는 2915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2000명(1.1%) 증가했다. 다만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효과가 단기 일자리 위주로 나타나면서 청년층 취업자 수는 14만6000명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