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세가지 해법을 제시하며 "SK는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사진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인공지능(AI) 서밋 2025' 개막 기조연설을 진행 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인공지능(AI) 시대의 가장 치열한 전선은 '메모리'로 옮겨가고 있다. AI 투자 열풍 속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메모리 공급을 잇따라 요청하면서 '공급 부족'(쇼티지) 우려가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기 때문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세가지 해법을 제시하며 "SK는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개막 기조연설에서 "올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합쳐 3만5000명이 참가했다. 지난해보다 훨씬 큰 관심을 보였다"며 "AI는 이제 모든 영역의 핵심 주제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주 경주에서 열린 APEC CEO 서밋에 회장 자격으로 참석한 경험을 언급하며 "정상들이 나눈 거의 모든 대화가 AI에 집중돼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흐름에서 볼 수 있듯 최근 5년 동안 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액은 연평균 24%씩 성장해 올해 6000억달러(약 800조원)에 이르렀다. 오픈AI·메타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밝힌 신규 투자 규모는 이보다 더 크다. 최 회장은 "과거 에너지나 석유처럼 안정된 수요 예측 모델이 없어, 앞으로 얼마나 큰 폭으로 성장할지는 예단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AI 반도체(칩) 성능을 뒷받침할 안정적인 메모리반도체 공급 ▲미래형 AI 인프라 구축 ▲AI로 AI를 혁신하는 전략을 SK의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최 회장은 이를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AI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면 'AI 디바이드'(AI 격차)와 'AI 식민화'(AI 컬로니제이션)가 심화될 수 있다"며 "SK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효율 중심의 접근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협력 통해 최고 효율의 AI 설루 찾을 것"


사진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최 회장은 메모리반도체 산업의 공급 병목 현상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비롯한 AI 칩 성능은 매년 향상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메모리반도체 공급 속도는 그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공급이 병목이 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많은 기업들로부터 메모리반도체 공급 요청을 받고 있어서 이걸 다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에게 책임지고 공급하는 것이 고객을 위한 길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의 HBM 증산 계획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내년 중 본격 가동할 청주캠퍼스 M15X 팹(Fab·반도체 제조시설)과 2027년 가동 예정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를 통해 AI 메모리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는 팹 한 곳당 청주캠퍼스 M15X 여섯 개가 들어간다"며 "용인클러스터의 4개 팹이 완성되면 청주캠퍼스 M15X 24개가 지어지는 효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증산뿐 아니라 고용량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낸드플래시메모리 콘셉트의 신제품 개발도 대안으로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고성능 AI 칩과 메모리반도체가 온전히 성능을 발휘하도록 뒷받침할 최적의 AI 인프라 사업도 SK의 핵심 주력 분야로 꼽았다. 최 회장은 "SK는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반도체부터 시스템, 전력, 운영까지 통합 제공해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대표 사례로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과 오픈AI와 함께 추진 중인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마지막으로는 AI로 AI를 혁신하는 전략을 소개했다. SK그룹은 지난달 31일 엔비디아의 GPU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활용해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제조 AI란 자동차·로봇 등 물리적 형태의 실물 기기나 상품을 생산하는 제조 공장 등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을 의미한다.

최 회장은 "AI를 메모리 칩 생산에 적용해 칩 생산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며 "특히 엔비디아와 협업을 통해 메모리 칩 생산에 AI를 적용하는 것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엔비디아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도입해 SK하이닉스에 특화된 가상 공장을 만들고 있다"며 "궁극적으로 메모리 칩 생산 공정을 완전히 자율화하고 제조 AI 솔루션을 다른 산업과 스타트업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열어 제조 AI 생태계가 빠르게 확산되도록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조연설 말미에는 SK와 AI 생태계를 꾸려가는 국내·외 파트너사들을 화면에 소개하며 "AI는 혼자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SK AI 전략의 핵심은 파트너와 공동으로 설루션을 설계하고 발전해가는 것"이라며 "SK는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고 빅테크와 정부, 스타트업 등 여러 파트너들과 AI 사업기회를 만들어 최고 효율의 AI 설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아마존의 앤디 제시(Andy Jassy) CEO와 오픈AI의 샘 올트먼(Sam Altman) CEO가 영상 메시지를 보내 SK와의 협력 의지를 전했다. 제시 CEO는 "SK는 아마존의 대표적인 AI 설루션 확장 파트너"라고 평가했고 올트먼 CEO는 "개인이 AI 비서를 지속적으로 활용하려면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 SK 같은 파트너십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