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형 핵추진 잠수함 건조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중국 측 반응과 관련해 "중국은 핵 비확산 의무를 충실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가 진행되는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형 핵추진 잠수함 건조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중국 측 반응과 관련해 "중국은 핵 비확산 의무를 충실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핵추진 잠수함 문제에 대한 중국의 반응을 묻자 "그 부분에 대해 우리 측의 필요성을 충분히 제기하고 설명했기 때문에 상호 이해가 심화되는 대화가 오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중국은 이런저런 과정과 연계하거나 별도로 핵 비확산 의무를 충실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다만 원자력 추진 잠수함의 취지나 내용이 중국을 특정해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히 설명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시진핑 주석의 11년 만의 국빈 방한은 한중관계 정상화를 위한 첫 출발"이라며 "이번 한중 정상회담의 구체적 성과가 무엇인지 설명해 달라"고 질의했다.

이에 김민석 국무총리는 "큰 틀에서는 정상 간의 관계가 회복된 것이 가장 큰 의미"라며 "양국이 6건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이후에도 다양한 교류가 계속 이어지도록 했다"고 답했다.


김 총리는 또 "다소 민감할 수 있는 사안들도 터놓고 논의가 이뤄졌다"며 "부분적인 내용일 수 있지만, 문화 관련 공연이 서로 열리게 된 것도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한반도 평화 문제와 관련해서도 중국이 지속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화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