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그룹이 생산·포용적 금융에 110조원을 공급한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경제 저성장 고착화와 부동산 중심의 금융 구조를 혁신해 금융이 초혁신경제로 산업 전환과 민생 회복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신한 K-성장! K-금융!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신한금융은 생산적 금융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해 온 경험과 역량을 토대로2030년까지 5년간 총 110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적 금융을 공급한다. 신한금융은 자금중개·위험분담·성장지원 등 금융의 본질적 기능을 강화해 산업 전반의 혁신과 균형 있는 성장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93~98조원 생산적 금융 공급
신한금융은 국가 핵심 산업의 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해 2030년까지 93~98조원 규모의 생산적 금융을 단계적으로 공급한다.
앞으로 5년간의 경제상황, 산업구조의 변화 등을 감안해 그룹의 자체적인 금융지원 규모는 탄력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우선 국민성장펀드에는 10조원을 참여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을 중심으로 주요 그룹사가 AI·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을 비롯해 기후·에너지·인프라·K-붐업 산업(콘텐츠·식품 등)을 집중 지원한다.
또한 그룹 자체적으로 10~15조원의 투자자금을 조성해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 영역을 포함한 추가 투자를 병행한다. 이를 통해 국민성장펀드를 뒷받침하고 코스닥 상장 및 Pre-IPO 단계 기업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에도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초혁신경제 선구안 제고 및 효과적인 성장 지원을 위해 은행 중심으로 조직된 '초혁신경제 성장지원 추진단'을 통해 부동산을 제외한 일반 중소·중견기업에 72~75조원 규모의 그룹 자체 대출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정부의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를 포함해 폭넓게 지원해 산업 자금의 균형적 순환을 촉진할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신한 K-성장! K-금융! 프로젝트'의 시작으로 반도체·에너지·지역 인프라 등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 기반과 신산업 분야에 대한 대규모 파이낸싱을 시작했다.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의 교통·용수 인프라 등 첨단산업 기반시설에 총 5조원 규모의 금융주선과 함께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총 5조원 규모의 CTX(대전·세종·충북광역철도) 사업을 병행하기로 했다.
또한 데이터센터·신재생에너지 개발펀드 등 13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연말까지 인프라 개발펀드를 포함해 3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추가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어 다수의 국내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 및 공동 투자펀드 조성을 통해 BESS(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 프로젝트의 개발을 시작하는 등 미래 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한 선제적인 금융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신용보증기금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인프라 금융 협약'을 체결해 오·폐수 처리시설과 주거환경 개선 등 지역 인프라 개선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 생산적 금융 아젠다에 발맞춰 산업 혁신과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금융의 선순환 구조를 선제적으로 구축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