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가 다음달 10일 출범하는 가운데 정부와 금융권이 펀드 조성과 투자 집행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한국산업은행 별관에서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 및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자리에는 이억원 금융위원장과 신진창 사무처장,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찬우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참석했다.
이날 체결된 업무협약은 지난 9월 150조원 규모로 출범하기로 한 '국민성장펀드'의 성공적인 조성 및 집행을 위한 것으로 5개 지주와 산은은 전문인력 파견과 첨단전략산업 지원 검토사업 등에 대한 정보교류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정부는 공공 75조, 민간 75조로 구성된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 인공지능(AI) 등 첨단전략산업 생태계에 집중 투자한다. 5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국민성장펀드에 10조원씩 총 50조원을 출자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신설 등 전문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고, 투자 수요를 모집하고 있다. 기금운용심의회 추천 등 절차를 진행하는 한편 금융·산업계 현장의견을 적극 반영할 수 있는 소통풀도 구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민성장펀드 출범에 맞춰 최대한 신속하게 투자집행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이억원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생산적금융 대전환 제시 후 금융권에서도 정책방향에 화답하고 있으나 시장의 평가는 아직 냉정하다"며 "금융권이 여전히 이자장사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올리고, 산업 이해에 근거한 전략적 재원배분에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글로벌 패권경쟁에 대응해 정부·금융권·산업계·지역·국민의 역량을 총동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특히 "국민성장펀드는 그 규모 뿐만 아니라 지원방식과 협업체계도 그간의 산업금융이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이라며 "기존의 영업관행과 마인드는 획기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도 출자부담 개선방안, 발생할 수 있는 투자실패에 대한 면책지원 등을 통해 적극적인 투자의사결정을 돕겠다"고 밝혔다.
업무협약식에 이어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이 진행됐다. 사무국은 국민성장펀드 개별프로젝트 접수와 예비검토, 산은 본체를 비롯한 여타 금융기관 공동지원 주선 등 금융지원과 자금집행, 사후관리 실무를 맡게 된다. 산은에서 경력을 쌓은 인력과 함께 민간금융권·산업계 경력전문가를 채용하고 민간금융권과 인력교류도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