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핵심 기준인 외국인 직접 투자 수요 51% 이상을 확보했다고 24일 밝혔다.
고양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가능성의 핵심 기준인 외국인 투자기업 수요 50% 이상을 충족했으며, 현재 계획 면적 대비 51% 이상의 외투기업 수요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산업통상부가 2022년 7월 '선 투자수요 확보, 후 지정' 체계로 전환함에 따라, 실질적인 외투기업 수요 확보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다만, 최근 시정질문에서 정민경 시의원이 '실투자 금액 0원' 발언과 '정확한 투자 유치 건수'를 언급하며 논란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전에는 투자의향서(LOI)를 통한 투자 '수요' 입증이 중요하며, 지구 지정이 확정되지 않은 지역에 실제 투자를 하는 기업은 존재하지도 않고 받아서도 안 된다고 해명했다.
이동환 고양시장이 밝힌 투자의향서 또는 업무협약 체결 건수 206건과 시의원 제출 자료 204건의 차이는 자료 요구 시점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투자의향서(LOI)는 향후 입주 및 투자를 검토하겠다는 '의향'을 표명하는 절차로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실제 투자가 이루어진 단계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정 의원이 시장 임기 3년간의 '실제 투자 금액'을 질문하고 시장 답변에도 불구하고 '실투자 금액 0원'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에 걸림돌이 되는 발언에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시는 또한 실제 투자 가능성 등을 수시로 체크하며, 논란이 된 '국제디지털추진위원회', '㈜지오엠에스디(GOMSD)', '나이티' 등은 입주 수요 산정에서 모두 제외했으며, 산업통상부에 등록된 외투기업 등 건실한 외국 기업만을 수요에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달18일 북경자동차 관련 ㈜지오엠에스디(GOMSD) 측은 시의회의 언론 보도로 인한 본사 이미지 손상에 유감을 표하며 고양시와의 협약 종결을 통보해왔다.
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완전한 자족도시 조성의 핵심 기반이며, 이에 대한 시민의 열망과 간절함도 크다"며 "시의회, 그리고 시민과 함께 힘을 합쳐 최종 지정을 추진해, 고양의 미래, 자족도시 실현을 현실로 만들 것이며, 지금은 무엇보다 이해와 협력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