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민선 5기 동안 KTX 호남고속철도 광주역 진입을 놓고 지역간 불협화음이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민선 6기 광주시가 시민의견을 수렴한 후 광주역 정차 문제를 매듭짓기로 해 솔로몬의 해법이 나올지 주목된다.
 
이는 호남고속철도가 첫 삽을 뜬지 6년만에 내년 초 개통될 예정이어서 시간이 없고 의견 일치는 되지 않아 자칫 호남고속철도 개통에 차질을 빚을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광주시는 KTX 광주역 진입 논란을 마무리하기 위해 시민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기로 26일 결정했다.

첫번째 방안으로는 ‘광주권 KTX 운행방안 T/F팀’을 구성해 호남고속철도 KTX 광주역 진입 여론수렴 등 시민의 편익과 도시균형 발전 등 측면에서 가장 현실적 대안을 모색하기로 했고 ▶ 둘째 광주공동체 시민회의(100인 시민위원회)에 의제를 상정 시민이 참여하는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고 ▶세번째로 5개자치구 95개동 통장 및 일반시민들의 의견수렴을 위한 설문조사, 인터넷을 통한 여론수렴, 광주역 및 광주 송정역 현장 목소리를 듣기 위한 스티커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시민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광주시의 이같은 결정 호남고속철도 개통이 코 앞으로 다가와, 정차역 문제로 더 이상의 행정력 낭비를 막고 심화되는 지역간 대립을 풀기위한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KTX 호남고속철도 광주역 정차를 놓고 광주 북구와 광산구간 갈등이 첨예했다.

광주역이 행정구역상으로 있는 광주 북구는 ‘당연히 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반면 송정역이 있는 광산구는 ‘광주송정역을 단일거점역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맞섰다.

정치권까지 가세하며 지역간 대결 양상으로 흐르면서 난감해진 광주시는 지선개념으로 광주송정역에 정차하는 일부 열차를 광주역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절충안을 국토부에 제시했지만, 국토부(코레알)는 경제성 등을 이유로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로 인해 광주시가 국토부의 입장과 다른 시민의견을 수렴해 건의할 경우 광주역 정차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시민여론수렴 절차는 “시민과 관련 전문가들의 중지를 모아 KTX 광주역 진입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안을 마련해 광주시민의 편익을 극대화는 것은 물론 광주역 주변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국토부에 건의하기 위한 안을 마련하는 중요한 과정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오는 11월경에 ‘2014하반기 호남고속철도 운영 계획’ 수립시 KTX정차역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