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홈플러스, 검찰 압수수색에 노조 파업까지
홈플러스가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경품 행사 조작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 본격화에 노조파업까지 겹치면서 벌어진 상황이다.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은 지난 4일 홈플러스의 경품조작 및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해 서울 역삼동 홈플러스 본사와 경품행사 대행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수사단은 이날 검사와 수사관 20여명을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경품행사 관련 내부 자료를 확보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지난 2012년 1억원 상당의 외제차를 내건 경품행사에서 내부 직원의 지인이 1등에 당첨된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 직원은 동료들과 짜고 당첨자를 조작해 자동차를 받은 뒤 되팔아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수사단은 보강 수사 과정에서 이들이 경품 조작뿐만 아니라 대량의 고객 정보를 빼돌린 단서를 포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고객 정보를 조직적으로 거래했을 가능성도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홈플러스 노조는 회사 측이 경품행사 때마다 고객 정보를 건당 4300원 정도에 보험사 등으로 팔아 10억원 이상의 수익을 거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수사단은 고객정보 유출이 조직적이고 상습적이었던 걸로 드러나면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홈플러스 매장 직원 2000명은 저임금에 대한 불만으로 추석 연휴 기간인 5일부터 10일까지 파업에 돌입했다. 노조 측은 시급 500원, 회사 측은 200원 인상 방안을 놓고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파업으로 치달았다.

노조 측은 “2000여명이 넘는 인원이 파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추석 연휴 기간 정상영업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회사 측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어 극단적으로 가는 상황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측은 파업 참여 인원이 많은 점포에 인근 점포 또는 본사 인력을 투입하면서 정상영업을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