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와대 문건유출 관련 현안보고 관련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이 국회 운영위원회에 제출한 불출석사유서가 놓여 있다.여야는 이날 청와대 김영한 민정수석의 국회 운영위 출석을 요구했으나 김 수석이 출석을 거부하며 사의를 표명했다./사진=뉴스1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와대 문건유출 관련 현안보고 관련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이 국회 운영위원회에 제출한 불출석사유서가 놓여 있다.여야는 이날 청와대 김영한 민정수석의 국회 운영위 출석을 요구했으나 김 수석이 출석을 거부하며 사의를 표명했다./사진=뉴스1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항명사태'를 일으킨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의 사표를 10일 수리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의 사표가 오늘 오전에 수리돼 오늘 자로 김 수석이 면직 처리됐다"고 밝혔다.

김 수석 사표 수리를 놓고 새누리당은 "본인도 책임을 묻는 데 대해 감수하겠다는 전제로 한 행위일 것"이라며 "박 대통령이 그에 상응한 적절한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평가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해임하지 않고 사표 수리 정도로 끝내는 건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표시"라고 반발했다.


앞서 9일 김 수석은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과 관련해 소집된 국회 운영위의 출석을 거부하며 사의를 표명했다. 초유의 항명 사태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한편 김 수석은 경북 의성 출신으로 경북고와 연세대를 나와 1982년 사법시험에 합격, 서울지검 공안1부장과 대검 공안 1·3과장 일선 검찰청 공안부장검사를 두루 맡은 전형적인 ‘공안통’이다. 지난해 6월 박근혜 대통령의 제3기 청와대 참모진 개편 때 임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