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머니투데이DB |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최근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대 0.09%포인트 상승했다.
현재 신한은행의 5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상품은 연 3.11~4.47%로 한달 사이에 0.22%포인트 올랐다. 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2.97~4.72%에서 3.17~4.76%로 0.20~0.04%포인트 상승했다. KEB하나은행은 3.00~4.70%로 0.07%포인트, NH농협은행은 3.05~4.35%로 0.19~0.09%포인트 각각 인상됐다.
KB국민은행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2.96~4.27%로 유일하게 2%대를 유지했지만 0.09%의 상승폭을 보이며 금리인상에 동참했다.
은행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기준금리로 사용되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가 2개월 연속 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 15일 전국은행연합회가 공시한 11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66%로 지난달 1.57%보다 0.09%포인트 올랐다.
은행 관계자는 “1994년 미국 금리인상의 효과로 1997년에는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했다”며 “미국금리가 점진적으로 인상될 것으로 보여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은행권의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자료=한국은행 |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으로 돈 벌어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들의 부채관리에 적신호가 켜질 전망이다. 더욱이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발맞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계기업은 연명하기 힘든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최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기업부채 현황 및 기업구조조정에의 시사점'에 따르면 대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2009년 9.3%에서 지난해 14.8%로 빠르게 증가했다. 중소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 2009년 13.5%에서 2015년 15.3%로 증가속도가 더 빠르다.
특히 조선, 운수, 철강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한계기업 비중과 부채비율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조선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2009년 6.1%에서 지난해 18.2%로 12.1%포인트 상승했고 같은 기간 운수업은 8.9%포인트, 철강업은 6.9%포인트 올랐다. 운수업의 부채비율은 2009년 138.0%에서 지난해 200.3%, 올해 6월 357.7% 급등했다.
또한 대출원금 상환부담이 커져 채무를 감당하지 못하는 저소득·저신용자들의 이자부담도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 6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상환지출 비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37.7%로 1년 사이에 1.1%포인트 상승했다.
금융순자산이 원리금상환액 비율(DSR)을 40% 초과하는 한계가구는 금융부채 규모가 400조원, 전체 금융부채의 32.7%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계가구의 경우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평균 507%에 달해 비한계가구(77%)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DSR 역시 한계가구(평균 109%)가 비한계가구(15%)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즉, 한계가구는 금리상승에 원리금을 상환해야 하는 비율이 높아져 가계관리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취약 신흥국의 금융불안 등으로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정부와 함께 시장안정화 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