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권 강화를 원하지 않는다고요? 도대체 그 설문조사에 응한 사람들은 누구죠? 일부 설계사 입장을 전체 입장인 것처럼 기사를 쓰는 건 위험한 일 아닌가요?”
이 보험설계사의 지적을 일부 인정한다. 하지만 씁쓸한 여운을 남기는 것도 사실이다. 먼저 해당 기사는 노동3권 법안 통과 분위기가 무르익는 가운데 보험연구원의 보험설계사 800명 설문조사 내용을 담았다. 세금부담 때문에 보험설계사 80%가 개인사업자를 선호한다는 것. 또 노조 설립에 대해서도 가입의향이 없거나 모르겠다는 비율이 60%를 넘어 이들이 진정으로 4대보험 가입이나 노동권 강화를 원하는지 의문이 든다는 내용이었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전체 보험설계사의 입장이 그렇다더라’라는 뉘앙스가 풍겼음을 인정한다. 물론 기자는 기사 말미에 이번 조사결과가 보험설계사 전체의 의견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삽입했다. 하지만 근로자로 편입되길 원하는 보험설계사 입장에서는 기사내용이 불편했을 것이다.
보험연구원의 이번 설문조사는 대형보험사들이 미리 영업소에 귀띔을 해 대답내용을 사전교육한 것 같다는 의혹이 언론보도를 통해 제기되기도 했다. 사실의 진위여부는 알 수 없으나 설문조사에 참여한 800명이 50만 보험설계사를 대표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기자에게 한 항의성 멘트에 대해선 유감을 표하고 싶다. 언론에 항의하기 전 보험설계사 스스로 먼저 반성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어서다. 통계자료를 보면 지난해 39개 생·손보사의 불완전판매 건수가 5만3000건을 넘었다. 한해 수만여명이 설계사의 무리한 영업으로 피해를 보는 상황인 셈. 따라서 보험설계사의 신뢰도는 거의 땅밑으로 추락한 실정이다.
해당 기사의 댓글만 봐도 기사내용과 관계없는 설계사에 대한 ‘악플’이 주를 이뤘다. 여론이 왜 설계사 노동권 강화에 강력한 지지를 보내지 않는지 설계사 스스로 생각해봐야 한다. 보험사 역시 보험설계사의 이미지가 악화되자 아예 금융설계사·재무설계사 등 이름 자체를 바꾸지 않는가.
여론은 보통 사회적 약자 편에 서기 마련이다. 설계사보다 그들을 믿고 보험료를 꼬박꼬박 납부하는 가입자의 권리를 더 우선시한다면 굳이 언론에 항의하지 않더라도 국민이 알아서 보험설계사의 입장을 대변해주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