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미사일. 북한 미사일 발사. 사진은 서울 용산구 국방부. /사진=뉴시스 |
북한이 29일 오전3시17분쯤 평안남도 평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지난 9월15일 중장거리미사일(IRBM) 화성-12 발사 이후 75일 만에 이뤄졌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은 오늘 오전3시17분쯤 평안남도 평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합참은 "북한이 평안남도 평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고도 약 4500㎞, 비행 거리 약 960㎞"라며 "세부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 분석 중에 있다"고 전달했다.
고도와 비행 거리로 추정하면 이날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합참에 따르면 우리 군은 이날 오전3시23분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동해상으로 적 도발 원점까지의 거리를 고려해 지·해·공 동시 탄착 개념을 적용한 미사일 합동 정밀 타격 훈련을 실시했다.
합참은 "이날 사격 훈련에는 육군 미사일부대, 해군 이지스함, 공군 KF-16 등이 참가해 해성-II(함대지), 현무-II(지대지), SPICE-2000(공대지) 미사일을 각 1발씩 발사했다"며 "적 도발 원점을 가정한 목표 지점에 3발이 동시에 탄착됐다"고 발표했다.
이어 "이번 사격 훈련은 우리 군의 정찰 감시 자산으로 적 도발 징후를 포착하고 지속 감시하면서 대공 경계 및 방어 태세를 강화한 가운데, 지·해·공 미사일 동시탄착(TOT) 개념을 적용한 합동 정밀 타격으로 적 미사일 기지를 일거에 궤멸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실시됐다"고 전달했다.
합참은 "이번 훈련은 우리 군이 북한의 군사 동향을 24시간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도발 시에는 지상, 해상, 공중에서 언제든지 도발 원점과 핵심 시설 등을 정밀 타격 할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우리 군은 북한군의 추가도발에 대비해 감시,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