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화=머니S DB
/삽화=머니S DB

서울 광진구 구의동에서 70대 노인이 몰던 차량이 보행자 등을 덮쳐 최소 9명의 사상자가 발행한 가운데 고령 운전자가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 광진경찰서는 12일 오후 5시40분쯤 서울 광진구의 골목길에서 김모씨(72)가 낸 교통사고로 신원을 알 수 없는 40대 여성과 50대 남성이 사망하고 최소 7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의 차량은 주차된 차량과 보행자 등을 충격한 후 인근 슈퍼마켓을 부딪치며 멈췄다. 또 부상자 중에서는 생명이 위독한 환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고령 운전자가 내는 교통사고도 크게 늘고 있다. 만 65세 이상 운전자들이 낸 교통사고로 2007년에는 514명이 사망했지만, 지난해에는 848명이 사망한 것으로 도로교통공단은 집계했다. 이는 10년 새 60%나 늘어난 수치다.

이에 정부는 고령 운전자를 대상으로 꾸준히 면허 자진반납을 유도하고 있다. 최근 부산에서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가 운전면허증을 자진 반납하면 교통비 등 다양한 혜택을 지원 받을 수 있게 했다.

부산시는 지난 11일 증가하고 있는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고령자 운전면허증 자진 반납자 교통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올해 모두 400명을 선정해 교통카드를 지급하며, 예정 인원이 넘으면 추첨으로 지원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인센티브 제공 관련 도로교통법 일부개정안이 1년 넘게 국회에 입법 계류 중에 있으나 이번 사례처럼 고령자 교통사고 예방 노력이 확산되면 법제화가 빠른 시일 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