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 등지의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다는 기대감으로 뉴욕증시가 상승마감했다. /사진=머니투데이
미국과 유럽 등지의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다는 기대감으로 뉴욕증시가 상승마감했다. /사진=머니투데이


뉴욕증시가 기업 실적에 힘입어 큰폭 상승했다. 14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558.99포인트(2.39%) 오른 2만3949.7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84.43포인트(3.06%) 상승한 2846.06, 나스닥 지수는 323.32포인트(3.95%) 급등한 8515.74에 장을 마감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발병 지역의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가 둔화하는 조짐을 보이자 각종 경제활동이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나라를 열기 위한 계획을 완성하는 데 거의 접근했다. 예정보다 빠르길 바란다”며 “주를 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주기 위한 중요한 지침을 곧 마무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기업의 실적 발표도 양호했다. 존슨앤드존슨(J&J)은 1분기 순익과 매출이 모두 시장 예상을 넘어섰다. 주당 배당금도 상향 조정했다. J&J는 올 9월 시작 예정인 임상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내년 1분기에 코로나19 백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J&J 주가는 이날 약 4.5% 올랐다.


JP모건의 1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약 70% 급감, 예상에 못 미쳤지만 순이자이익(NII)이 많고 트레이딩분야 매출도 큰폭 증가했다는 점이 주가를 견인했다.

다만 경기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는 여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로 하향 조정했다. 경제대공황 이래 최악 수준이다.

이날 발표된 미국 수입물가는 예상보다 높았다. 미 노동부는 3월 수입물가가 전월대비 2.3% 하락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는 -2.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