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 유흥업소 한 곳에서만 관련 누적 확진자가 400명 넘게 발생하면서 유흥업소 영업제한 완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 2일 부산 서면 젊음의 거리에 시민들이 오가는 모습. /사진=뉴스1 |
14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날 기준 부산 유흥주점 관련 누적 확진자는 전날 26명 추가돼 총 41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4일 부산 서구 냉장업체 직원 여러 명은 해당 유흥업소를 이용한 뒤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들이 이용한 유흥업소 종사자를 매개로 또 다른 이용자 및 가족, 직장 동료 등으로 연쇄 감염이 확산되는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유흥주점 관련 267명 ▲서구 냉장업체 관련 15명 ▲사하구 목욕탕·헬스장 관련 73명 ▲사상구 공구마트 관련 15명 ▲중구 헬스장 관련 15명 ▲서구 사무실 복합건물 관련 27명 ▲남구 학교 급식실 관련 6명 등이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 노래방 관련 확진자도 지난 12일 기준 33명에 달한다. 분당 초등학교 교사가 지난 2일 지인과 노래방을 방문한 뒤 7일 뒤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같은 학교 초등학교 1학년까지 잇따라 감염됐다.
유흥시설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하는 이유로는 신속한 역학조사가 어렵다는 업종의 특수성이 꼽힌다. 정부가 지난 12일부터 3주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적용되는 수도권·부산의 유흥시설에 대해 집합금지를 시행하는 것도 이런 특수성을 반영한 것이다.
유흥시설은 운영시간 제한 위반, 접객원 등의 출입명부 작성 미흡과 같은 방역 위반 사례가 다수 발생해 역학조사가 쉽지 않다. 서울·경남권을 중심으로 유흥시설 관련 집단감염은 지난 1월 이후 총 50개소(서울 2개소, 부산 41개소, 경남 7개소)에서 발생했다. 특히 노래연습장에서는 불법적으로 알선되는 접객원의 신분 노출을 우려해 출입명부를 관리하지 않고 주류를 판매하거나 섭취하는 등 방역수칙 위반사례가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오세훈 시장이 제안한 대로 자가검사키트를 활용하더라도 유흥시설 이용자들의 출입명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방역 구멍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가검사키트가 유전자를 증폭해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PCR 검사 방식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대부분 항원검사 방식인 자가검사키트는 국내에서는 응급실 등 제한적인 환경에서 전문가용으로만 허가됐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13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인터뷰에서 "(다중이용시설 입장 검사에서) 가짜 양성 반응을 나타낸 사람을 격리하고 확진 검사를 진행해야 되는데 그게 밤 시간일 수 있다"며 "방역대응 인력이 쉬어야 되는 시간에 다시 일을 해야 되는 문제가 생긴다. 확률적으로 하룻밤에 10만명을 검사하면 1000명씩 (가짜 양성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