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500명대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9일 0시 기준 533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전날 587명 대비 54명 감소하는데 그쳤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지역발생과 해외유입 사례는 각각 505명, 28명으로 나타났다. 1주간 지역 일평균 확진자는 전날 580.6명보다 18.3명 감소한 562.3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백신 1차 신규 접종자는 54만2227명을 기록했다. 누적 1차 접종자는 523만3963명으로 통계청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현황 5134만9116명 대비 10.2%를 차지했다. 지난 2월 26일 접종을 시작한 이후 91일만에 10%를 넘겼다.
2차 신규 접종자는 6만3876명으로 누적 접종 213만3720명을 기록했다. 전국민 대비 4.2% 수준이다.
코로나19 수도권 비중 67.9%
이날 신규확진 533명(해외유입 28명)의 지역별 신고현황은 서울 194명(해외유입 4명), 경기 139명(해외유입 3명), 인천 18명(해외유입 1명), 부산 14명, 대구 22명, 광주 9명, 대전 11명, 울산 8명, 세종 1명, 강원 10명, 충북 22명, 충남 12명(해외유입 2명), 전북 6명, 전남 5명, 경북 13명, 경남 20명(해외유입 1명), 제주 13명(해외유입 1명), 입국검역 16명이다.
신규 확진자 중 수도권 지역 발생은 343명(서울 190명, 경기 136명, 인천 17명)으로 전체의 67.9%를 차지했다.
![]() |
/사진=뉴스1 |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발생 추이는 5월 16일부터 29일까지(2주간) '610→619→528→654→646→561→666→585→530→516→707→629→587→533명'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해외유입 사례를 제외한 지역발생 확진자 추이는 '572→597→505→637→619→542→633→570→505→481→684→620→571→505명'을 기록했다.
신규 진단검사 수는 7만87건을 기록했다.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는 3만1135명으로 이중 확진자 93명을 확인했다.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검사자 5627명 중 9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는 5명 늘어난 1951명, 치명률은 1.40%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4명 증가한 160명, 격리해제자는 980명 늘어난 누적 12만9739명이었다. 격리치료 중인 환자는 452명 감소한 7741명으로 나타났다.
1차 신규 접종 54만2227명… 접종률 10.2%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백신 1차 신규 접종자는 54만2227명을 기록했다. 누적 1차 접종자는 523만3963명으로 통계청 2020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현황 5134만9116명 대비 10.2%를 나타냈다. 2차 신규 접종자는 6만3876명으로 누적 접종 213만3720명을 기록했다. 전국민 대비 4.2% 수준이다.
백신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 누적 311만8326명, 화이자 백신 1차 접종 누적 211만5637명이다.
![]() |
28일 오후 서울시 관악구보건소에서 보건소 관계자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지난 27일부터 전국위탁의료기관에서 65~74세 신규 1차 접종을 시작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접종자는 46만2660명으로, 사전예약 39만8197명, 당일신속예약 3232명, 예비명단 6만1231명이 접종을 받았다. 이외 60~64세 연령층 등 접종은 6월 7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화이자 백신은 지난 22일부터 75세 이상 노인 1차 접종을 재개했다.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자는 신규 7만6461명이다. 백신별 접종 대상자 대비 1차 접종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39%, 화이자 백신이 56.8%다.
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례는 지난 27일 0시부터 29일 0시까지 1556건 증가한 2만6859건을 기록했다. 이 중 2만5499건(94.9%)은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였다.
접종 후 사망 신고 사례는 14건 늘어난 179건을 기록했다.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는 14건 늘어난 225건을 나타냈다. 이외 신경계 이상반응 등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110건 늘어난 956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