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모델이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을 확인하는 모습. /사진제공=KT
KT 모델이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을 확인하는 모습. /사진제공=KT
KT는 고도화된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으로 이상거래를 차단하겠다고 12일 밝혔다.

KT는 2019년부터 ‘KT 착한페이’로 지역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과 클라우드 기반의 안정적인 운영과 카드 및 QR코드를 활용한 결제 편의성 등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화폐 서비스를 운영한다. 선할인·캐시백 등 혜택으로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지역 내 소비도 점차 활성화된다. 이에 지역화폐를 악용한 불법 판매, 환전 등 이상거래를 방지할 필요성도 증가한다. 지역화폐 구입에 따른 혜택을 취한 후 불법으로 다시 현금화하는 ‘지역화폐 깡’ 사례들이 실제 매년 발생하고 있다.

이에 KT는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지역화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상거래 단속 강화를 위해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을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고도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고도화는 ▲머신러닝 기반 소비자와 가맹점의 소비패턴 학습 ▲다양한 패턴의 이상거래 조기 탐지 ▲지역화폐 유통과정 투명화 등이 주요 특징이다.
KT에 따르면 고도화된 시스템은 지역화폐 거래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술로 학습한다. 관리자가 사전 정의한 규칙에 대해서만 탐지·통보되는 한계가 있었던 기존 시스템과 달리 수시로 발생하는 미리 정의되지 않은 이상거래까지 찾아낼 수 있게 했다. 이상거래 발생 추이의 실시간모니터링을 지원하며 이상거래로 의심되는 건에 대해 자동으로 알려준다. 담당자는 이상거래에 대한 판단을 내려 필요한 경우 결제 및 정산을 차단한다.

임채환 KT AI/DX플랫폼사업본부장(상무)은 “블록체인, AI 등이 적용된 이번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은 지역화폐 악의적 유통 대응과 차단이 가능하다”며 “KT는 앞으로도 지역경제 활성화 및 안정적인 운영과 이용을 위한 방안을 계속해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