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각)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맥사테크놀로지'가 지난달 3일과 지난 1·14일 북한이 영변 우라늄 농축 시설을 확장하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트위터 캡쳐 |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각)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맥사테크놀로지'가 지난달 3일과 지난 1·14일 북한 영변 우라늄 농축 시설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이 우라늄 농축공장은 알파벳 'U'자 형태로 돼 있고 가운데가 비어있다. 지난달 3일 사진에는 이 빈 곳에 나무가 심어져 있었지만 지난 1일엔 대부분 제거됐다. 지난 14일에는 건물 가운데 빈 공간의 바깥 부분에 외벽이 생겼고 양쪽 건물들과 연결된 것이 확인됐다. 여기에는 건축 자재 등으로 보이는 물체들도 확인됐다.
제임스 마틴 비확산 센터와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에 따르면 이 곳은 1000m²에 약 1000개의 원심분리기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1000개의 원심분리기는 이 시설의 고농축 우라늄 생산량을 약 25%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제프리 루이스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소장에 따르면 북한이 초대형 핵탄두 생산을 추진 중이다. 그러면서 "이 공사는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발표와도 관련있다"고 추정했다.
북한은 2002년부터 고농축 우라늄 개발을 이어왔다.
제임스 마틴 비확산 센터와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에 따르면 이 곳은 1000m²에 약 1000개의 원심분리기가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1000개의 원심분리기는 이 시설의 고농축 우라늄 생산량을 약 25% 늘릴 수 있다"고 밝혔다.
제프리 루이스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소장에 따르면 북한이 초대형 핵탄두 생산을 추진 중이다. 그러면서 "이 공사는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발표와도 관련있다"고 추정했다.
북한은 2002년부터 고농축 우라늄 개발을 이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