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친환경차인 아이오닉5·넥쏘를 들고 12년 만에 일본 승용차시장에 재진출 했다. 사진은 일본 도쿄 오테마치 미쓰이홀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간담회에 전시된 아이오닉5(왼쪽)와 넥쏘 모습. /사진=현대차
현대차가 친환경차인 아이오닉5·넥쏘를 들고 12년 만에 일본 승용차시장에 재진출 했다. 사진은 일본 도쿄 오테마치 미쓰이홀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간담회에 전시된 아이오닉5(왼쪽)와 넥쏘 모습.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가 친환경차 아이오닉5·넥쏘를 앞세워 일본 승용차시장에 다시 진출했다. 2009년 현지시장에서 발을 뺀 지 12년 만이다.
9일 현대차에 따르면 전날 일본 도쿄 오테마치 미쓰이홀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열고 현지 승용차시장 재참여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현대차가 일본 승용차시장에 다시 진출하는 것은 2009년 말 현지에서 철수한 이래 12년 만이다. 현대차는 그동안 일본시장에서 버스 등 상용 부문 영업만을 해왔다.


현대차는 친환경차 아이오닉5와 넥쏘를 앞세워 현지시장에 나선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일본시장에서 혁신적인 상품성을 가진 친환경차(ZEV)를 지속 소개할 계획이다.

최근 현대차는 일본법인의 법인명도 현대차 일본법인(Hyundai Motors Japan)에서 현대모빌리티재팬(Hyundai Mobility Japan)으로 변경했다. 일본에서도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자’로 거듭나려는 현대차의 목표를 반영한 행보로 풀이된다.

현지 고객의 접근성 개선에도 나섰다. 현대차는 판매 방식을 웹사이트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탐색부터 결제·배송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 온라인 세일즈로 운영한다.
현대차가 아이오닉5·넥쏘 등 친환경차를 앞세워 2009년 이후 12년 만에 일본 승용차시장 재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사진은 일본 도쿄 오테마치 미쓰이홀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간담회에 참석한 우라베 타카오(왼쪽부터) HMJ R&D센터 디자인팀장, 가토 시게아키 HMJ 승용차사업실장, 사토 켄 HMJ 상품기획 담당. /사진=현대차
현대차가 아이오닉5·넥쏘 등 친환경차를 앞세워 2009년 이후 12년 만에 일본 승용차시장 재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사진은 일본 도쿄 오테마치 미쓰이홀에서 열린 현대차 미디어 간담회에 참석한 우라베 타카오(왼쪽부터) HMJ R&D센터 디자인팀장, 가토 시게아키 HMJ 승용차사업실장, 사토 켄 HMJ 상품기획 담당. /사진=현대차
올 하반기 요코하마를 시작으로 수년 안에 현지 주요 지역에 ‘현대고객경험센터’를 구축해 오프라인 브랜드 체험 및 구매 지원·정비·교육 등의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현지 카세어링·플랫폼(P2P) 업체 DeNA SOMPO Mobility (서비스명 Anyca)와 협력해 아이오닉5와 넥쏘를 활용한 카세어링 서비스도 제공한다. 소유자가 Anyca 플랫폼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차를 소개하는 공유와 소유 연계의 새로운 판매 방식을 일본시장 최초이자 현대차 최초로 도입한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영상 인사말을 통해 “(승용 시장 철수 이후) 지난 12년 동안 현대차는 다양한 형태로 고민을 계속해 왔다”며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진지하게 고객과 마주보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는 ‘인류를 위한 진보’라는 비전 아래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를 추구하고 있다”며 “일본 시장은 배워 나가야 하는 장소임과 동시에 도전해야 하는 장소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