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마트의 모습. /사진=머니투데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마트의 모습. /사진=머니투데이

두 차례 경매를 진행했음에도 응찰자가 나타나지 않았던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6개월 만에 세 번째 경매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찰자 45명이 몰리면서 실거래가보다 2억원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

20일 서울중앙지법 경매법정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84㎡(이하 전용면적·12층)는 지난 18일 감정가 27억9000만원의 95% 수준인 26억5288만원에 낙찰됐다.


해당 매물은 이번이 세 번째 경매로 45명의 응찰자가 몰렸다. 2등과 3등의 제시가격은 각각 24억1500만원과 23억3399만원으로 감정가의 80%를 웃돌았다. 지난해 11월 첫 경매 나왔을 당시 법원 감정가는 27억9000만원이었다. 이후 두 번째 경매에서는 최소 입찰가격이 20% 하락한 22억3200만원이었다.

다만 두 번의 경매를 진행했음에도 응찰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최소 입찰 가격은 20% 더 하락해 17억856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후 세 번째로 해당 물건이 등장하자 입찰자들이 몰리면서 26억원대까지 상승했다.

앞서 해당 매물은 집 소유주가 집값의 87%인 24억원을 대부업체에서 빌려 매입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물건으로 화제가 됐었다. 결국 집주인은 금리 부담을 견디지 못해 지난해 11월 경매로 나왔다.


이번 낙찰가는 은마아파트의 최근 실거래가보다 2억원 이상 높은 가격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은마아파트 84㎡는 이달 4일 24억3000만원(9층)에 매매가 체결됐다. 지난해 10월 21억원(2층)에 실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6개월여 만에 3억원이 오른 것인데, 낙찰가가 이보다 더 높게 책정됐다.

이번 경매에 사람들의 관심이 뜨거웠던 이유로는 두 차례 유찰로 최소 입찰 가격이 17억원대까지 떨어졌고, 경매로 집을 취득할 시 실거주 의무가 없기 때문에 전세를 놓는 등 부담을 덜 수 있다.

은마아파트는 투기과열지구로 묶여 있어 조합설립 이전에 소유권을 확보해야 조합원 지위를 얻을 수 있다. 최근 은마는 조합 설립 동의서 징구를 진행하는 등 조합설립이 임박하면서 적절한 시기에 매수했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