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울 뉴스1 박지혜 기자
사진=서울 뉴스1 박지혜 기자
정부가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을 전개하면서 수도권 법원 경매 아파트에 투자 열기가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21일 법원경매정보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84.5%로 지난달 84.0%보다 올랐다. 7월 통계로는 2009년 86.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7월 78.5% 대비 6.0%포인트 높아졌다.

수도권 아파트 낙차가율은 4월 86.2%로 최고점을 찍었다. 하지만 2·26 임대소득 과세 방침으로 기존 주택시장이 약세를 보이면서 경매 낙찰가율은 5월 이후 두달 연속 떨어졌다.


하지만 올해 7월 총부채상환비율(DTI)·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기존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자 경매 낙찰가율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울 영등포구는 89.3%로 낙찰가율이 90%에 달했다. 서초구는 88.8%, 강남구 88.4%, 노원구 86.3%로 평균을 넘어섰다. 경기도 군포시 99.6%, 화성시 94.9%, 광명시 93.1% 등의 낙찰가율은 90%를 웃돌았다.

규모별로 보면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이 89.6%, 85㎡ 초과 중대형이 81.1%로 각각 지난달 88.9%, 80.9%에 비해 올랐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7월 비수기에 경매 낙차가율이 오르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라며 “DTI·LTV 등 부동산 규제완화 등에 대한 기대감에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자 시세보다 싼 값에 집을 구입하려는 수요자들이 경매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