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산업協, 변형된 ‘자동차 복합할부상품’ 출시 반대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카드사가 현대차 복합할부 수수료 협상을 앞두고 제시한 신용공여일 연장 자동차 복합할부상품이 카드사의 편법상품이라며 반대입장을 드러냈다. 자동차 업계의 주도적 마케팅 전략기회를 상실하고 중장기적으로 차량 가격 인상요인으로 작용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KAMA는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러한 입장을 밝히고 “카드사의 복합할부상품이 단순 명료한 체계 속에서 합리적 비용에 기반으로 한 하향 조정된 수수료율에 따라 운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KAMA에 따르면 자동차 복합할부는 카드사가 자금조달비용과 리스크를 전담하는 일반 카드거래와 달리 카드사가 자신의 자금조달비용과 리스크를 상당부분 할부금융사에게 전가하기 때문에 카드사에게 자금조달비용과 대손비용이 낮게 발생하는 구조다.


KAMA 관계자는 “카드사가 신용공여일을 연장하더라도 이러한 기본 구조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신용공여일을 연장한 자동차 복합할부상품이 비록 일반 카드거래 형태를 갖춘다 하더라도 본질적으로 자동차사로부터 부당하고 과도한 수수료를 편취하는 구조가 그대로 존속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에 따라 자동차업계는 판촉재원의 손실을 보게 되고 또한 주도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행할 기회도 상실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자동차가격의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소비자에게도 복잡한 금융상품에 따른 혼선을 초래한다”고 덧붙였다.

복합할부금융이란 고객이 캐피털사와 계약을 맺고 할부로 차를 살 때 중간에 카드결제 단계를 거치는 것을 말한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해 KB국민카드를 시작으로 최근 BC카드와도 복합할부수수료를 두고 갈등을 빚었다. 특히 복합할부상품의 취급비중이 큰 삼성카드와 현대차의 가맹점계약이 오는 3월 종료될 예정이어서 갈등이 한층 고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