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환구단 전경
▲현재의 환구단 전경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독립된 황제국의 상징인 환구단(圜丘壇, 사적 제157호)과 이곳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환구제(圜丘祭)를 재조명하는 ‘황제국의 상징, 환구단과 환구제’ 테마전시를 오는 5일부터 12월 말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환구단과 환구제에서 사용한 유물이 최초로 공개된다.
유교적 세계관에서는 황제국만이 하늘에 제사를 지낼 수 있었으므로 조선은 1464년(세조 10)을 마지막으로 제사를 중단하였다.

이후 고종이 대한제국의 수립을 준비하면서 1897년 현재의 웨스틴 조선호텔 일대에 환구단을 세우고 이곳에서 황제 즉위식을 거행했다. 따라서 고종의 환구단 건설과 환구제 복원은 중국과의 단절과 자주독립국의 수립을 상징한다.
▲신위병풍
▲신위병풍
국립고궁박물관은 소장 유물 중 황천상제(皇天上帝, 하늘 신), 황지기(皇地祇, 땅 신),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등의 신위를 황궁우(皇穹宇)에 봉안할 때 사용한 ‘신위병풍〔신의(神扆)〕’을 비롯해 각종 제기 등의 유물이 환구단과 환구제에서 사용되었던 의례용품임을 밝혀내고 국민들에게 처음으로 선보인다.
또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촬영된 환구단의 사진과 현재의 사진을 비교해 보면서, 일제강점기 때 황궁우와 삼문 등을 제외한 시설 대부분이 헐린 환구단의 참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1층 ‘왕실의 의례실’에서 진행되는「황제국의 상징, 환구단과 환구제」 전시는 무료로 운영되며, 국립고궁박물관 야간 특별관람 기간(5.2.~14./휴무일인 매주 월요일 제외)에는 밤 10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오늘부터] 황제국의 상징 '환구단' 관련 유물 최초 공개
<이미지제공=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