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 포포호수'

리비아에서 두 번째로 큰 포포호수는 지난달 '사라진 호수'로 공식 선언되었다.


물이 말라버린 호수 바닥에는 뒤집힌 고기잡이 보트들 곁에 벌레들이 죽은 새들의 시신을 파먹고 있고, 한 줌 남아있는 습지에서는 타는 듯한 햇볕 아래에서 갈매기들이 먹이를 두고 다툼을 벌이고 있는 흉물스러운 풍경이 됐다.

볼리비아의 안데스 고원 위에 있는 반건조지대의 포포호수는 고도가 3700m 나 돼 오랫동안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입어왔으며 얕은 수심 때문에 전에도 말라붙었다가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두 배쯤 되는 큰 호수로 회복되었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제는 그런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어 호수 연안에 사는 어민등 수 천명의 생계가 호수와 함께 증발해 버렸다.

화석 연료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볼리비아의 빙하를 녹이는 속도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독일의 빙하 전문학자 디르크 호프만 박사는 "포포호수의 고갈은 앞으로 지구 온난화가 불러올 자연 재해를 그대로 보여주는 그림이다"라고 말하고 이번에는 호수의 복원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볼리비아애서 티티카카호 다음으로 큰 포포호수가 사라져 버린 것은 안데스 산맥의 빙하가 사라진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

엘니뇨 현상의 반복으로 심한 가뭄이 닥친 것이 주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농업용수 사용과 인근 광산에도 원인이 있다고 당국은 보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포포호수 주변 운타비 마을 주민들은 양떼와 라마, 알파카를 팔고 목축업을 접은 뒤 이곳을 떠나 인구가 절반 이상 줄었으며, 지금은 노인들만 남아있는 상황이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인공위성이 포착한 볼리비아 포포 호수의 모습. 왼쪽은 1986년10월11일에 찍었고, 오른쪽은 지난 16일(현지시간)에 찍은 것이다. 푸른 물이 들어찼던 호수의 수량이 안데스산맥 빙하가 사라지면서 급격히 줄어든 것을 한 눈에 알 수있다. /사진=뉴시스(AP 제공)
미국지질조사국(USGS)인공위성이 포착한 볼리비아 포포 호수의 모습. 왼쪽은 1986년10월11일에 찍었고, 오른쪽은 지난 16일(현지시간)에 찍은 것이다. 푸른 물이 들어찼던 호수의 수량이 안데스산맥 빙하가 사라지면서 급격히 줄어든 것을 한 눈에 알 수있다. /사진=뉴시스(AP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