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구조조정 관련 경제관계장관회의 합동브리핑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고심하는 표정을 보이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3사가 10조30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확정했다. 주요 자산과 사업 매각, 인력 감축 등을 통해 확보한 10조원으로 회생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대우조선의 경우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따라 최대 2조원의 추가지원 비상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이미 자구계획을 이행 중인 SPP·성동·대선조선 등 중소 조선사는 자체 정상화가 어려울 경우 대형사의 하청공장으로 만드는 방안이 검토된다.
8일 정부가 발표한 ‘산업·기업 구조조정 계획 및 국책은행 자본확충’방안에 따르면, 조선 빅3는 이 같은 자구안을 마련, 주채권은행에서 잠정 승인을 받았다.
자구안은 현재 진행중인 경영진단 결과 등에 따라 보완될 전망이다. 이들이 잠정 마련한 전체 자구안 규모는 대우조선 7조3000억원(비상계획2조원 포함), 현대중공업 7조1000억(비상시 추가 자구안3조6000억원 포함), 삼성중공업 1조5000억원 등 모두 15조9000억원에 이른다.
먼저 현대중공업 3사는 비핵심자산 매각과 경영합리화, 사업조정등을 통해 3조5000억원을 확보하고 비상시를 대비해 3조6000억원을 추가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하이투자증권 등 3개 금융사를 매각하고 일부사업을 철수하거나 자회사 분할 후 지분매각을 추진한다. 또 일부도크를 순차적으로 가동중단하고 인력감축 등 경영합리화를 추진한다.
삼성중공업은 비생산자산을 매각하고 수주목표 축소에 따른 잉여생산설비 및 인력감축을 통해 1조5000억원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ABS발행과 유상증자를 통해 유동성 대책도 강구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10월 경영정상화 방안에 포함된 1조8500억원의 자구계획과는 별도로 이번에 3조5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구계획 제출했다. 자구안 마련을 위해 14개 자회사를 모두 매각하고 특수선 사업부문을 자회사 분할해 일부 지분 매각한다. 또 도크를 7개에서 5개로 줄여 생산능력을 30% 축소한다.
정부는 현재 자율협약이 추진 중인 성동·대선조선 등 중소형 조선사의 경우 유동성 부족을 기업 스스로 해결하되 자체해결이 어려운 경우 처리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스로 생존하지 못하면 법정관리로 보낼 수 있다는 얘기다.
성동조선은 2개의 야드 매각과 인력감축 등으로 총 3248억원 자구계획을 마련, 자구계획 이행시 2019년까지 자금부족은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대선조선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673억원의 추가 자구계획 이행시에도 내년 중으로 자금부족이 발생 가능할 것으로 진단됐다. SPP조선은 2017년 3월까지 자금부족 없이 기존에 수주한 선박의 인도 완료가 가능해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인수합병(M&A)을 재추진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