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3월 은행이 취급한 가계대출 금리가 25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금리 상승으로 가계 대출부담은 커졌지만 예금금리는 제자리걸음을 유지했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3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3월중 은행이 신규 취급한 대출금리는 3.48%로 전월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가계대출 금리가 전월보다 0.05%포인트 오른 3.43%로 7개월 연속 상승세를 거듭했다. 지난 2015년 2월(3.48%)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주담대 금리는 평균 3.21%로 전월대비 0.02%포인트 올랐다. 이는 안심전환대출이 시행된 2015년 2월(3.24%)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주담대 금리는 시장금리 상승세에 맞물려 8개월째 상승세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8개월 동안 0.55%포인트(2.66%→3.21%) 급등했다.

시장금리는 3월 들어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은행채(AAA, 1년만기) 평균금리는 지난 2월 1.56%에서 3월 1.59%로 0.03%p 상승했다.


은행채(AAA, 5년만기) 평균금리도 지난 2월 2.07%에서 3월 2.12%로 0.05%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은행의 평균 자금 조달 금리인 코픽스(COFIX) 금리는 3월 신규 취급액 기준 1.48%로 전월과 동일했다.

최영엽 한은 경제통계국 부국장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대출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며 "특히 장기채 금리에 연동되는 주담대 금리는 향후 금리 상승 기대감이 높아짐에 따라 장기채 금리가 오른 것을 반영해 상승세를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3월 신규 예·적금 금리는 1.49%로 전일과 동일했다. 상품별로 정기 예금, 정기적금 금리가 각각 0.01%포인트, 0.04%포인트 상승하는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가 0.01%포인트 상승했으나 시장형금융상품 금리는 0.01%포인트 하락한 영향이다.

이에 따라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대출금리-수신금리)는 1.99%포인트로 전월과 비교해 0.03%포인트 확대됐다. 예대금리차는 2013년 1월 이후 최고치였던 지난 1월(2.00%포인트) 수준에 근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