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주 흡연 중금속.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
음주·흡연하는 생활습관과 칼슘·철분 등을 충분하게 섭취하지 않는 식습관이 체내 중금속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3일 2010~2015년 국민을 대상으로 체내 중금속 농도 변화를 추적 조사하고 체내 중금속 농도와 생활 습관, 식품 섭취 등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2010년 1차 조사에서 4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이 가운데 870명에 대해서는 2015년까지 2차례 추적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2015년 우리 국민의 체내 중금속 농도는 5년 전보다 납, 카드뮴, 수은이 각각 12%, 2%, 23%씩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식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량도 납 0.175 ㎍/kg b.w./day, 카드뮴 0.235 ㎍/kg b.w./day, 수은 0.085 ㎍/kg b.w./day로 1차 조사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2010년 1차 조사의 노출량은 납 0.205 ㎍/kg b.w.day, 카드뮴 0.260 ㎍/kg b.w./day, 수은 0.110 ㎍/kg b.w./day이었다.
체내 납과 수은 농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는데 식품을 통한 노출량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어 음주, 흡연 등 식품 이외의 다른 노출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우리 국민의 체내 중금속 농도를 지속적으로 줄여나가기 위해 성인을 중심으로 식품 이외의 추가적인 노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음주, 흡연, 식습관 등의 요인이 체내 중금속 농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분석 결과 과도한 음주는 체내 중금속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음주를 하는 사람(1주일에 4번 이상)이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체내 중금속 농도가 납 54%, 카드뮴 11%, 수은 89% 높게 조사됐다.
이는 과도한 음주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기 어려워 칼슘, 철분 등 영양 성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고 그 결과 칼슘 등 영양 성분이 체내에 흡수돼야 할 자리에 중금속이 대신 흡수돼 체내 중금속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알코올은 칼슘, 철분, 엽산 등 영양 성분의 흡수를 방해해 체내 중금속 농도를 높이며 과도한 음주가 체내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대식세포 등에 의한 중금속 제거 능력을 저하시킨다.
음주 횟수가 많은 사람의 생활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불균형한 식습관이나 흡연 등의 생활습관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식약처는 카드뮴과 수은에 대한 유전적 특성 분석은 현재 진행 중이며 평가가 완료되면 공개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흡연하는 습관도 체내 중금속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체내 농도가 납 30%, 카드뮴 23%, 수은 43% 등으로 높게 조사됐다. 특히 남자의 경우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하는 집단이 비음주 비흡연 집단에 비해 체내 중금속 농도가 2배 이상 높았다.
흡입을 통한 체내 흡수율이 경구를 통한 체내 흡수율 보다 더 높기 때문에 흡연을 통해 담배 자체가 가지는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체내로 들어와 체내 중금속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어패류, 우유 섭취 식습관은 체내 중금속 농도를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조사 결과를 토대로 중금속 농도가 30%이상 감소 또는 증가한 집단의 식습관을 분석한 결과 체내 중금속 농도가 감소한 집단이 증가한 집단에 비해 어패류,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어패류, 우유 섭취 식습관은 체내 중금속 농도를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조사 결과를 토대로 중금속 농도가 30%이상 감소 또는 증가한 집단의 식습관을 분석한 결과 체내 중금속 농도가 감소한 집단이 증가한 집단에 비해 어패류, 유제품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체내 중금속 흡수를 방해하는 영양 성분인 칼슘, 엽산, 철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어패류, 유제품을 섭취하는 식습관이 체내 중금속 농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는 것으로 분석된다.
식약처는 또한 실제 실생활에서 ▲금주·금연 등의 생활 습관 개선 ▲칼슘·철분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균형 잡힌 식습관이 체내 중금속 농도를 줄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조사 대상 가운데 체내 중금속 농도가 높게 관찰된 78명에 대해 생활 습관과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3개월간 4차례 실시한 결과 교육을 받은 후 체내 납과 수은의 농도가 각각 26%, 15% 감소했다.
식약처는 또한 실제 실생활에서 ▲금주·금연 등의 생활 습관 개선 ▲칼슘·철분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균형 잡힌 식습관이 체내 중금속 농도를 줄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조사 대상 가운데 체내 중금속 농도가 높게 관찰된 78명에 대해 생활 습관과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3개월간 4차례 실시한 결과 교육을 받은 후 체내 납과 수은의 농도가 각각 26%, 15% 감소했다.
카드뮴의 경우는 체내 잔류성이 긴 특징을 가지고 있어 단기간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속적인 교육 및 생활 습관 및 식습관 개선을 통해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 음주·흡연 등의 생활 습관과 식습관 개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체내 중금속 노출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체내 중금속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칼슘, 철분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고 금주, 금연 등의 생활습관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 음주·흡연 등의 생활 습관과 식습관 개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체내 중금속 노출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체내 중금속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칼슘, 철분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고 금주, 금연 등의 생활습관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