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 태양광 패널 모습. /사진제공=한화큐셀
한화큐셀 태양광 패널 모습. /사진제공=한화큐셀

정부의 움직임에 투자처가 갈린다.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는 섹터는 기업의 활동범위 축소와 영업비 상승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새정부 출범 이후 강도 높은 규제로 전체 시장수익률을 크게 밑돈 유통·건설·유틸리티업종이 대표적이다.
반면 정부가 육성하는 섹터는 새로운 투자대안으로 떠오른다. 새정부가 발표한 ‘신재생에너지 3020정책’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는 관련 기업의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과 연말 발표예정인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정책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이번 신재생에너지정책에 따른 구체적인 재원 확보방안을 논의 중인 점이 고무적이다. 지난 정부들보다 구체적인 친환경정책을 꺼낸 만큼 수혜업종인 태양광과 ESS(에너지저장시스템)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투자증권은 단기 유망종목으로 한솔케미칼, 포스코강판, 신성델타테크, 아이콘트롤스, 이엘피, 코웰패션 등을 추천했다. 장기 유망종목으로는 이엠텍, KG ETS, SK, 풍산, 이지바이오, 오텍 등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태양광 중심 신재생에너지 담아라

문재인정부는 신재생에너지 3020정책을 발표하면서 태양광섹터를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로 높이는 게 골자다. 선진국보다는 낮지만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2006년 1.0%에서 지난해 4.0%로 3.0%포인트 성장한 것을 감안하면 만만한 목표가 아니다. 과거 신재생에너지 관련 예산규모를 바탕으로 추정하면 2030년까지 약 29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올해 신재생에너지에 할당예정인 금액은 7474억원인데 이 재원은 현재 4조1000억원 규모의 전력사업기반기금에서 나온다. 따라서 목표를 실현하려면 추가예산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전기요금의 1.5~2.0%에 해당하는 부담금 부과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예산 추가확보 ▲원자력발전용 연료에 개별소비세 부과 ▲전력기금의 여유자금 1회성 전입 등이 제시된 상황이다. 노근환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재원마련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면 예산은 충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정책에서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태양광이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목표에 도달하려면 53GW의 신규설비가 필요한데 이 가운데 태양광과 풍력발전설비가 80%를 차지한다. 또 정책에 담긴 ▲기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강화 ▲발전차액지원제도(FIT) 재도입 ▲신재생에너지원 이격거리 규제개선을 통한 설치 가능지역 확대 등도 태양광과 풍력산업의 투자포인트로 꼽힌다.

RPS는 설비용량 500MW를 초과하는 발전사업자들이 일정비율의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는 걸 의무화한 제도다. 이에 발전사업자들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건설하거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입하는 방식으로 의무량을 채워야 한다. 이 제도는 2023년까지 의무비율 10% 도달을 목표로 2012년에 처음 도입됐는데 이번에 2030년까지 28% 수준으로 상향됐다.

FIT는 일종의 보조금정책으로 RPS가 도입되기 전 신재생에너지시장에 적용됐던 제도인데 이번에 재도입이 추진된다. 지정된 기준가격과 전력거래가격 간 차액을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로 발전사업자에게 안정된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됐다. 일본의 경우 FIT 도입 후 태양광발전량이 2012년 전체 발전량의 0.4%에서 지난해 4.4%로 크게 상승했다.

설치 가능지역 확대도 투자 시 체크해야 할 부분이다. 신재생에너지의 주요 단점 중 하나는 면적이다.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이 추진하는 태양광농장보다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심형 태양광 보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격거리 규제 완화는 성장동력에 힘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머니S톡] '신재생에너지 3020' 어떤 종목 데울까

◆신재생에너지 파트너 ‘에너지저장시스템’
이번 정책으로 국내 태양광시장 규모가 확대되면 관련 업체들의 수출의존도가 낮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태양광업체들은 수출비중이 높아 글로벌 사이클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물론 앞으로 글로벌 태양광 수요 전망이 밝아 높은 수출비중이 장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각국의 정책 불확실성이 변수다. 지난달 22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만장일치로 한국, 중국 등 수입산 태양광 셀로 인해 자국 제조업체들이 피해를 본다는 입장을 내놨다.

태양광산업의 또 다른 약점도 있다. 이들 산업은 전력 최대수요가 나타나는 시간대와 전력출력량이 일치하지 않는다. 일출을 기준으로 총 수요에서 태양광발전량을 차감한 순부하가 서서히 증가하면서 과잉공급이 나타나는 것. 하지만 이 같은 수급 불균형을 타개하는 방안 중 하나로 ESS가 주목받는 것은 투자자 입장에서 또 다른 대안으로 인식된다.

ESS는 과잉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최대수요 시간대에 전력을 그리드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해 신재생에너지원의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각국은 신재생에너지정책과 함께 ESS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을 내놓았다. 일본과 독일은 신재생 발전사업자가 ESS를 도입할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ESS 설치를 의무화했다.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공공기관의 ESS 설치 의무화를 요구하는 지침을 내렸다.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의 증가와 함께 에너지 저장배터리시장도 덩치가 커지는 추세다. 지난해 글로벌 배터리 저장용량은 약 0.6GW 증가한 1.7GW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이 증가분 중 0.2GW를 차지해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가파른 성장률을 나타냈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국내 ESS시장이 성장하면 배터리생산업체인 LG화학, 삼성SDI와 PCS·PMS를 제공하는 LS산전, 효성 등을 비롯해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통신업체들이 수혜를 입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11호(2017년 10월25~31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