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듀오 |
가족 구성 변화에 맞는 ‘사실혼 등록제’(43.9%)와 ‘혼전계약서 법적 보장’(42.0%) 등 새로운 가족 제도의 도입 필요성도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60.4%는 ‘결혼식 후’ 혼인신고를 하겠다고 답했다. ‘결혼식 전’은 36.9%로 3년 전(25.9%)보다 42.5% 증가해, 혼인신고 시기가 점차 빨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혼인신고를 서두르는 이유는 ‘전세자금 대출 및 주택 마련 문제’가 39.6%로 가장 높았다. 또한 남녀 다수는 비혼에 대해서 ‘긍정적’(52.5%)으로 평가했다.
그리고 재혼 의사 여부를 묻는 질문에 미혼남녀 46.3%가 ‘있다’고 답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재혼 의사가 ‘있다’(52.4%)는 의견이 더 많았지만 여성은 ‘없다’(59.5%)는 대답이 더 많아 남성과 여성 간의 의견 차가 있었다.
![]() |
결정적인 이혼 사유로는 남성은 ‘성격 차이’(19.5%)를, 여성은 ‘시댁, 처가 등 가족과의 갈등’(21.4%)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혼 대비 방법도 남녀가 달랐다. 남성은 ‘준비하는 게 없다’(29.0%)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여성은 ‘비자금(최소한의 재산 공개)’(26.2%)이란 답변이 다수였다. 다음으로 남성은 ‘혼전계약서 작성’(22.1%)과 ‘혼인신고 보류’(18.0%)를, 여성은 ‘혼인신고 보류’(18.8%), ‘자녀 출산 보류’(17.6%)를 대비 방법으로 택했다.
![]() |
/사진=듀오 |
결혼정보회사 이용은 24.5%가 ‘긍정적’(긍정적+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듀오 관계자는 “결혼과 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정부도 이에 맞는 법 개정 추진에 시동을 걸고 있다”며 “다양한 결혼 형태를 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평등한 가족 문화가 존중 받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혼인 이혼 인식을 담은 ‘대한민국 2030 결혼 리서치’ 보고서는 전국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남녀 1000명(남성 489명, 여성 511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설문 조사를 진행해 작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