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자보상배율 추이./자료=한국은행 |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9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기업 비중이 지난해 32.1%로 전년대비 2.4% 상승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이자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영업이익에서 이자비용을 나눠 계산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면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다는 뜻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34%)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조선(54.9%)과 자동차(37.8%), 숙박음식(57.7%), 부동산(42.7%) 등의 위주로 많았다. 한은은 대내외 성장세가 둔화되고 수출감소세가 지속되며 전방사업의 설비투자가 부진한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2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 비중은 지난해 기준으로 20.4%였다. 3년 연속으로는 14.1%로 전년대비 각각 1.4%p와 0.4%p 올랐다.
이자보상배율이 낮아진 이유는 수익성이 저하된 반면 차입비용은 올랐기 때문이다. 요인별 기여도를 보면 수익성이 -0.4배를, 레버리지는 0.1배를, 평균차입비용은 -0.2배를 기록했다.
경영여건이 악화되면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은 더욱 악화될 예정이다. 매출액이 지난해 대비 평균 3%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조사한 결과 이자보상배율은 지난해 5.9에서 5.1로 낮아졌다.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비중도 32.1%에서 37.5%로 높아졌다. 이들 기업에 대한 여신 비중 역시 32.1%에서 38.6%로 올랐다.
한은은 “ 금융기관은 기업의 신용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 먼저 경기 상황, 산업별 업황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채무상환능력 평가를 통해 기업 신용위험 평가의 정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