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변상욱 트위터 캡처 |
변상욱 YTN 앵커가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비판한 한 청년에 '수꼴'이라는 표현을 써 논란을 빚은 가운데 이와 관련 사과글을 게재했다. '수꼴'은 '수구꼴통'의 약자로 특정 정치적 성향을 가진 사람을 비꼬는 말이다.
지난 24일 변 앵커는 자신의 트위터에 "이 시각 광화문 단상에 한 청년이 올랐다. 저는 조국 같은 아버지가 없다. 그래서 지금 이렇게 섰다"고 청년의 말을 인용한 뒤 "반듯한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면 수꼴 마이크를 잡게 되진 않았을 것"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이후 해당 글이 논란이 되자 변 앵커는 해당 글을 삭제한 뒤 "젊은 세대가 분노하면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과 청문회에 반영할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정치에 휘둘리고 싶지 않아 하는데도 당명을 감추고 주관하거나 종북몰이 연장선상에 있는 집회에 학생들을 밀어올리는 건 반대한다. 특히 여당은 청년들에게서 무엇을 못 읽고 있는지 돌이켜봐야 한다"고 적었다.
또 백씨는 "(나는) 아버지가 안 계셨지만 어머니와 동생들과 꽤 잘 살아왔다고 생각한다"며 "가재, 붕어, 개구리도 밟으면 꿈틀한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비판했다.
이에 같은날 변 앵커는 페이스북에 "어제 SNS에 올린 저의 글이 논란이 되면서 무거운 마음으로 질책의 글들과 반응들을 읽으며 하루를 보냈다"며 "기성세대의 시각으로 진영논리에 갇혀 청년들의 박탈감을 헤아리지 못했다"는 사과글을 게재했다.
지난 24일 변 앵커는 자신의 트위터에 "이 시각 광화문 단상에 한 청년이 올랐다. 저는 조국 같은 아버지가 없다. 그래서 지금 이렇게 섰다"고 청년의 말을 인용한 뒤 "반듯한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면 수꼴 마이크를 잡게 되진 않았을 것"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이후 해당 글이 논란이 되자 변 앵커는 해당 글을 삭제한 뒤 "젊은 세대가 분노하면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과 청문회에 반영할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정치에 휘둘리고 싶지 않아 하는데도 당명을 감추고 주관하거나 종북몰이 연장선상에 있는 집회에 학생들을 밀어올리는 건 반대한다. 특히 여당은 청년들에게서 무엇을 못 읽고 있는지 돌이켜봐야 한다"고 적었다.
한편 변 앵커가 언급한 청년은 청년단체 대표 백경훈씨로 전날 광화문에서 열린 자유한국당의 문재인정권 규탄 집회에 참석해 조 후보자를 비판하는 발언을 했다. 백씨는 과거 보수 유튜브인 '신의 한수'에 다수 출연한 이력이 있다.
백경훈씨는 다음날인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청년들의 분노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며 글을 올렸다. 특히 백씨는 "반듯한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면 수꼴 마이크를 잡게 되진 않았을 수도"라는 변상욱 앵커의 내용에 "아버지 없는 저와 가족을 조롱하고 짓밟았다"고 분노했다.
또 백씨는 "(나는) 아버지가 안 계셨지만 어머니와 동생들과 꽤 잘 살아왔다고 생각한다"며 "가재, 붕어, 개구리도 밟으면 꿈틀한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비판했다.
이에 같은날 변 앵커는 페이스북에 "어제 SNS에 올린 저의 글이 논란이 되면서 무거운 마음으로 질책의 글들과 반응들을 읽으며 하루를 보냈다"며 "기성세대의 시각으로 진영논리에 갇혀 청년들의 박탈감을 헤아리지 못했다"는 사과글을 게재했다.
다음은 변 앵커의 글 전문이다.
변상욱 기자입니다. 어제 SNS에 올린 저의 글이 논란이 되면서 무거운 마음으로 질책의 글들과 반응들을 읽으며 하루를 보냈습니다. 젊은 세대가 견고한 기득권층의 카르텔 속에서 공정함을 갈구하고 있음을 이해한다고 여겼지만 저 역시 기성세대의 시각으로 진영논리에 갇혀 청년들의 박탈감을 헤아리지 못했습니다. 이 기회에 청년들의 높은 정치의식과 도덕적 요구를 더욱 마음에 새겨 함께 고민하고 과제를 해결하는데 힘쓰겠습니다. 올린 글의 수꼴 등 경솔한 표현 역시 아프게 반성하고 있습니다. 제 글로 마음을 다친 당사자 및 관련된 분들께도 머리 숙여 사과드립니다. 방송진행을 맡고있는 사람으로서 어찌 책임을 지는 것이 마땅한지 고민하고 의견을 구하다보니 사과문이 늦어진 점도 송구한 일입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더욱 진중하고 겸손한 자세로 생활에 임하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